정세균 국무총리가 정부가 코로나19 진단검사 규모를 입맛에 맞게 조절하고 있다는 일각의 의혹 제기에 대해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잘라 말했다.
18일 정 총리는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열고 "최근 사회 일각에서 정부가 코로나19 진단검사 물량이나 심지어 그 결과를 조작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며 "이는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검체채취와 진단검사 모두 전국 지자체별로 실시하고 있다"며 "또한 360여 곳이 넘는 민간 의료기관이 함께 참여하고 있어 정부가 검사량이나 결과를 조작하려는 시도 자체가 원천적으로 불가하다"고 강조했다.
이같은 발언은 정부가 코로나19 진단검사 규모를 임의로 조절해 가며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있다는 일부 야당 인사들의 주장을 두고 한 말이다. 앞서 지난 17일 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우리가 다른 나라와 비교해서 (코로나19) 검사 수가 너무 적다"며 정부가 확진자 수를 임의로 조절하고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같은 당 윤희숙 의원 역시 지난 1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확진자 수가 검사 수에 따라 달라지는데도 분모에 대한 언급 없이 확진자 수만 발표하고 있는 것은 그간 꾸준히 비판돼 왔음에도 마이동풍"이라며 "주말에는 검사인력이 줄어 검사 수가 감소하는데도 마치 방역성과가 나타나 확진자 수가 감소했다는 식"이라고 정부를 맹비난했다.
이에 대해 정 총리는 "아무런 근거도 없는 허위주장"이라며 "방역현장에서 고군분투하고 계신 의료진 사기를 꺾을 뿐만 아니라 국민 불신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석 연휴를 약 열흘 앞둔 상황에서 정 총리는 연휴기간 이동 자제를 재차 당부했다. 그는 "민족 명절인 한가위가 다가오고 있지만 고향 방문을 자제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차례를 생략하는 경우가 많아 조상님께 죄스런 마음을 갖고 계신 분도 있을 것"이라며 "하지만 조선왕조실록 등 여러 사료를 확인해
[연규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