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전체 유권자의 30%는 더불어민주당, 14%는 미래통합당 핵심지지층이라는 분석이 나온 것에 대해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늘 얘기해 왔던 대로 주류가 바뀐 것"이라고 평가했다.
진 전 교수는 31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글을 올려 "콘크리트 지지층을 이제는 저들(민주당)이 갖게 됐으니, 과거와 여야의 처지가 뒤바뀐 셈"이라고 밝혔다.
여론조사기관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 등 4업체가 지난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것을 바탕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p다.
보고서는 "정당지지도에서 변곡점을 확인할 수 있는 상징적인 상황은 민주당 지지도가 30%를 하회하는 시점"이라며 "(30% 하회 땐)민주당 핵심지지층에 균열이 생겼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특히 민주당 호감층과 선호층이 곧바로 통합당 지지로 돌아서지는 않을 것이며, 민주당에 대한 지지를 철회해도 당장은 무당층에 포함될 것으로 분석했다.
이에 진 전 교수는 "다만 저 조사의 모든 분석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며 "코로나 효과와 막말 시리즈로 인해 통합당이 참패한 지난 선거에서도 여당과 야당의 스코어는 49.9%대 41.5%였다. 최악의 상황에서도 표차는 8.4%에 불과했다"고 근거를 들었다.
이어 "코로나가 지속되는 동안은 물론 여당이 계속 득을 보겠지만, 그 효과도 앞으로 점차 약해질 것"이라며 "게다가 민
그는 "신뢰도도 문제지만, 야당의 최대 약점은 아직 '차기'가 안 보인다는 것"이라며 "그러니 구심점이 아직 안 생기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맹성규 기자 sgmaeng@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