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여당이 폭우 피해 원인을 4대강 사업 때문이라고 지적하자, 야당 의원들은 "홍수 예방에 효과가 없다면 보를 철거해보라"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산사태 원인으로 지목되는 태양광 발전을 놓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우종환 기자입니다.
【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4대강 보 조사를 요구하자 여당에서도 본격적인 공세가 이어졌습니다.
수해 복구 작업에 나선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4대강 사업의 순서가 잘못됐다고 지적했습니다.
▶ 인터뷰 : 이낙연 / 더불어민주당 의원
- "소하천이나 세천은 그대로 두고 밑에만 했단 말이에요. 마치 뭐하고 똑같으냐면 계단을 물청소하면서 아래부터 물청소해서 올라가면 해도 해도 끝이 없을 것 아닙니까."
박주민 의원은 4대강 보 중 폭우로 인근 제방이 무너진 낙동강 합천창녕보를 찾아 "홍수예방 효과가 없다는 게 규명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야권에서는 반박이 이어졌습니다.
친이계 권성동 무소속 의원은 "홍수예방 자신 있으면 4대강 보를 파괴하라"고, 이재오 전 의원은 "보가 없었으면 나라의 절반이 물에 잠겼을 것"이라고 반박했습니다.
산사태 원인으로 지목되는 태양광 발전을 두고도 공방이 이어졌습니다.
▶ 인터뷰 : 김종인 / 미래통합당 비상대책위원장
- "아무 데나 산기슭 같은 데다가 태양광을 설치하다 보니 비가 많이 쏟아지니까 무너지고 산사태 나고 더 어려운 상황을 만들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이에 김부겸 전 민주당 의원은 수해를 입은 태양광 발전 시설은 극히 일부라며 "정치적으로 이용하지 마라"고 비판했습니다.
정부·여당은 '4대강 조사'를 예고하고, 통합당은 다가올 임시국회에서 태양광 발전 문제를 집중 추궁하겠다고 나서면서 정치권의 수해 책임 공방이 가열되는 모습입니다.
MBN뉴스 우종환입니다. [ ugiza@mbn.co.kr ]
영상취재 : 민병조·안석준·김준모 기자
영상편집 : 박찬규
#MBN #폭우 #4대강 #태양광 #민주당 #통합당 #이낙연 #김부겸 #박주민 #김종인 #권성동 #이재오 #우종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