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이 21년만에 명칭을 바꾼다.
당·정·청은 30일 오전 고위 당·정·청 협의회를 통해 국정원의 명칭을 '대외안보정보원'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
국정원은 과거 여러 번 명칭이 바뀌었다. 1980년까지는 '중앙정보부', 1981∼1998년에는 '국가안전기획부'였으며 1999년부터 현재까지는 '국가정보원'으로 불려왔다.
대외안보정보원이란 명칭에서 알 수 있듯 앞으로 국정원은 '해외'와 '안보'분야에 집중하겠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외 및 북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분석해 정책수립을 지원하는데 초점을 맞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단순 남북간 문제 외에 코로나19 등 새로운 위협에 대한 포괄적인 안보도 집중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정치 참여를 엄격히 제한할 장치도 마련한다.
당·정·청은 이를위해 ▲ 직무 범위에서 국내정보 및 대공수사권 삭제 ▲ 국회 정보위 감사관의 외부통제 강화 ▲ 감찰실장 직위 외부개방, 집행통제심의위원회 운영 등 내부통제 강화 ▲ 직원의 정치 관여 등 불법행위 시 형사처벌 강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이런 논의 내용은 '국가정보원법'으로 구체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조잭 개편도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
박 원장이 지난 27일 인사청문회에서 밝힌 구상에 따르면 그동안은 국정원 1차장이 해외파트, 2차장이 대북파트를 맡아왔으나 향후 대북과 해외정보 수집 기능을 1차장이 모두 담당하는 쪽으로 조직개편이 이뤄질 거로 예상된다.
기존 해외정보
또 2차장은 그동안 해온 방첩 기능을 맡고, 과학정보본부 업무를 담당하는 3차장을 신선하는 방향으로 개편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규 기자 news@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