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병욱 미래통합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탈북학생 학업중단율 자료를 표로 정리했다. [자료 출처 = 김병욱 의원실] |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병욱 미래통합당 의원이 29일 발표한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탈북학생의 학업중단율은 2015년 2.2%, 2016년 2.1%, 2017년 2%, 2018년 1.8%, 2019년 3%로 집계됐다. 반면 일반학생의 학업중단율은 2014년부터 2016까지는 0.8% 2017년부터 2018학년까지는 0.9%였다. 탈북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중단율이 3배 이상의 격차가 발생한 셈이다.
학교급별로 학업중단율을 살펴보면 초등학교 1.4%, 중학교 3.2%, 고등학교 4.9%로, 학년이 올라갈수록 과목이 많아지고 수업 내용이 어려워지면서 기초학력이 부족한 탈북학생이 학업을 포기하는 비율이 높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비슷한 예로 남북하나재단이 실시한 '2018 탈북청소년 실태조사'에 따르면 전체 탈북학생 5명 중 1명(21.3%)이 학교 수업을 따라가는데 어려움을 호소했다.
김 의원은 "탈북학생의 절반(48.5%)이 북한에 있을 당시 학교를 다녔던 경험이 없고, 학교에 다녔더라도 남북한의 학제와 학과내용, 교육용어, 교수학습방법 등의 차이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탈북 청소년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우리의
김 의원은 재차 "신분 노출을 꺼려하는 탈북 청소년의 특수성을 고려해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홍보하고 중도이탈자 가 발생하지 않도록 면밀하게 챙겨나갈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우승준 기자 dn1114@mkinternet.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