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내에서 고(故) 박원순 전 서울시장과 오거돈 전 부산시장의 빈자리를 채울 내년 4월 보궐선거 공천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증폭되고 있습니다.
오늘(21일) 당내에선 이재명 경기기사가 공개 제기한 무공천론이 확산하는 분위기입니다.
이 지사는 전날 "장사꾼도 신뢰가 중요하다"며 "공당이 문서로 규정했으면 그 약속을 지키는 게 맞다"고 말했습니다.
현행 민주당 당헌·당규에는 당 소속 공직자의 부정부패 등 중대한 잘못으로 재보선이 실시되면 해당 지역에 후보를 내지 않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 지사는 박원순, 오거돈 사건에 대해 "중대비리가 아닐 수 없다"고 못박았습니다.
보궐선거로 뽑히는 시장의 임기가 불과 1년이라는 점에서 무공천이 명분과 실리를 동시에 챙기는 방안이라는 의견도 있습니다.
김성곤 전 의원은 페이스북에 "당헌을 고치면서까지 후보를 내는 것은 쪼잔하게 보일 수 있다"며 "일년짜리 시장을 이기려 하지 말고 깨끗이 사과하는 대신 내후년 대선과 지방선거를 이기는 것이 맞다"고 동조했습니다.
부산시당위원장인 전재수 의원 역시 "내년 선거에서 이겨도 임기가 8개월밖에 보장되지 않는다"며 "최소한 부산시장은 박 전 시장 문제가 불거지기 전까지는 (무공천에 대한 지역 당원들의) 전반적인 공감대가 있었다"고 지적했습니다.
하지만 두 지역을 합쳐 1천만명이 넘는 유권자가 참여하는 사실상의 '미니 대선'을 포기할 수 없다는 현실론이 아직까지는 주류인 상황입니다.
민주당은 성추문으로 사퇴한 안희정 전 충남지사 공석에 현 양승조 지사를 공천한 전례도 있습니다.
당 대표에 출마한 김부겸 전 의원은 YTN 라디오에서 "수도와 제2도시의 수장을 다시 뽑는 건데 현실을 무시할 수 없다"며 "너무 명분론에만 매달리기에는 워낙 큰 문제"라고 말했습니다.
서울에 지역구를 둔 한 중진 의원은 "정당이 후보를 내지 않는다는 것은 문을 닫는다는 의미로, 임기가 1년이라고 하지만 그게 5년이 되고 10년이 될 수 있다"며 "불임 정당을 누가 지지하겠나"라고 주장했습니다.
이낙연 의원은 공천까지는 시간이 있는 만큼 미리 힘을 뺄 필요가 없다는 신중론을 제기했습니다.
이 의원은 이날 MBC
이해찬 대표도 전날 고위전략회의에서 이 지사의 무공천 언급에 대해 "지금 얘기할 필요가 있냐"고 지적했다고 복수의 참석자가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