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오는 16일 제21대 국회 개원식 개최를 비롯한 7월 임시국회 의사일정에 14일 합의했습니다.
이로써 지난달 29일 원 구성 협상이 최종 결렬된 후 약 2주만에 국회 운영이 정상화 수순을 밟게 됐습니다.
더불어민주당 김태년·미래통합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회동하고 이 같은 내용의 의사일정을 발표했습니다.
김 원내대표는 "늦었지만 의사일정을 합의해 대단히 다행"이라며 "코로나 위기극복과 국민의 삶을 챙기는 데 있어 머리를 맞대고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주 원내대표는 "곡절이 있었지만, 민주당과 통합당이 국정 현안을 끊임없이 토론하고 상의해 국민에 도움되는 국회가 됐으면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여야 합의에 따라 국회는 16일 오후 본회의를 열어 개원식을 진행하고, 문재인 대통령의 개원 연설을 청취합니다.
이어 20∼21일 교섭단체 대표연설, 22∼24일 대정부질문을 각각 실시할 방침이며 30일과 내달 4일에는 법안 등 안건 처리를 위한 본회의가 예정됐습니다.
여야는 상임위별 법안소위원장 배분과 관련해서도 합의했습니다.
복지·행안·문체위는 복수 법안소위 체제로 개편하고, 복수의 법안소위를 뒀던 기존 8개 상임위까지 총 11곳의 위원장을 교섭단체 양당이 나눠 맡기로 했습니다.
또 국방위 법안소위원장은 통합당에서 맡기로 합의했습니다.
다만 법안소위 내 안건처리는
방송통신위원회 국회 추천인사는 오는 30일까지 양당이 1명씩 추천할 방침으로 중앙선관위원 2명 중 1명은 민주당이 추천하고, 나머지 1명은 통합당이 민주당의 동의 하에 추천하는 것으로 합의했습니다.
다만 통합당 몫 국회부의장 추천 및 정보위원장 선출 문제는 합의안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