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법무부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을 둘러싼 법무부 내부 논의 과정이 최강욱 열린민주당 대표에게 사전 유출됐다는 의혹이 나와 논란이 커지고 있다.
최 대표는 지난 8일 오후 10시께 본인 페이스북에 '법무부 알림' 제목의 글을 올렸다. 이 글엔 "법상 지휘를 받드는 수명자는 따를 의무가 있고 이를 따르는 것이 지휘권자를 존중하는 것임. 존중한다는 입장에서 다른 대안을 꺼내는 것은 공직자의 도리가 아님. 검사장을 포함한 현재의 수사팀을 불신임할 이유가 없음"이라고 돼 있다 이어 "'공직자의 도리' 윤 총장에게 가장 부족한 지점. 어제부터 그렇게 외통수라 했는데도…ㅉㅉ"이라고 썼다.
최 대표 주장은 추 장관이 같은날 오후 7시50분께 '검언유착 의혹'을 수사할 독립적 수사본부를 구성하고 자신은 지휘에서 손을 떼겠다는 윤석열 검찰총장의 건의를 거부한 뒤 2시간 뒤에 나왔다. 법무부는 "총장의 건의사항은 사실상 수사팀의 교체, 변경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문언대로 장관의 지시를 이행하는 것이라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최 대표가 공개한 알림과 다소 차이가 있다.최 대표가 공개한 알림은 법무부 내부 입장에 관한 문구를 조율하는 과정에서 작성된 일종의 가안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후 최 대표는 해당 글을 삭제했다.
이 때문에 법무부 내부 논의 과정 등이 외부로 새어나간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이에 최 대표는 "언론플레이를 한다"며 "'법무부 가안' 존재는 기사에서 처음 알았고, 제가 법무부를 들여다본다는 표현에 기가 막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제2의 국정농단"이라고 비판했다.
진 전 교수는 "최 대표가 '언뜻 올라온 다른 분의 글'을 옮겨적은 것이라고 해명했는데, 이제 그 '다른 분'이 누구인지 밝히면 된다"며 "20분 후에 '글을 보신 다른 지인께서' 법무부 알림이 아니라고 알려주셨다고 했는데, 그 '다른 지인'은 또 누구냐"고 되물었다. 그는 "고구마 덩이가 주렁주렁 딸려 나올 것 같은 느낌"이라며 "최순실 사태도 시작은 미약했죠"라고 지적했다.
진 전 교수는 "상식적으로 법무부의 공지를 '가안' 상태에서 SNS에 올리는 또라이가 어디에 있냐"며 "알려준 사람이야 우리 편 선수에게 미공개 정보를 미리 준다고 한 짓일 테고, 그걸 이 친구가 SNS에 올릴 거라고는 미처 생각 못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최강욱, 요즘 한참 '업' 되어 있는 상태다. 괜히 권세를 뽐내려고 쓸 데 없는 짓 했다가 똥 밟은 거"라며 "이거, 까딱하면 사건이 커질지도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원희룡 제주도지사도 "최순실 국정농단은 박근혜 대통령의 연설문을 최순실이 봐줬다는 보도로 시작됐다"며 "추미애 법무부장관의 입장문을 범죄 피의자인 최강욱과 공유했다면 더 나쁜 국정농단"이라고 지적했다. 원 지사는 "법무부장관이 권력 끄나풀들과 작당하고 그 작당대로 검찰총장에게 지시할 때마다 검찰이 순종해야 한다면 그게 나라입니까?"라고 되묻고 " 추미애 장관이 요구하는 것과
[채종원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