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북부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에서 흑사병(페스트) 환자가 발생한 것과 관련해 정부가 페스트 치료 및 대응에 큰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페스트는 치료제도 갖고 있는 데다 치료 경험, 프로토콜을 이미 정립해 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위험도가 낮다"고 말했습니다.
김 1총괄조정관은 "각국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상황은 시시각각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 보고·공유되고 있다"며 "우리 정부 역시 WHO를 통해 국제적 감염병 발생 상황을 모니터링(관찰)하고 감시하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어 그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이라 하더라도 감염병의 동시 발생으로 인한 위험은 현저히 낮은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면서 국내 전파 및 유입으로 인한 위험이 크지 않다고 부연했습니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 역시 "페스트를 비롯해 황열 등은 검역법에서 검역 감염병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해외에서 발생하는 즉시 통보되고 검역 단계에서 조치가 이뤄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작동 중이다"고 말했습니다.
윤 반장은 "페스트는 쥐벼룩이 사람에게 옮긴 뒤 전파가 이뤄지는데 예전에는 치료 약이 없어 관리하는 게
그는 "이런 감염병은 주로 상하수도 시설이 잘 갖춰지지 않았거나 위생 상태가 열악한 곳에서 많이 발생하는데 우리나라는 위생 상태가 아주 양호한 대표적 국가"라며 "우리 방역체계에서 충분히 대응 가능한 감염병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