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김태년·전해철·정성호(기호 순) 의원은 오늘(6일) 초선 당선자들의 국회 상임위원회 배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며 일제히 '초선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세 후보는 경선을 하루 앞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 후보자 합동토론회에서 180석의 '슈퍼 여당'을 이끌 청사진을 공개하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김태년 의원은 "그동안 우리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당정청 지도자들의 안정적인 리더십과 '원팀'의 통합된 단결력을 바탕으로 큰 성과를 거뒀다"며 "원내대표가 되면 이를 이어받은 '통합 리더십'으로 당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열린우리당 시절의 과오를 다시는 반복해서는 안된다"며 "관계정치, 계파정치는 다시는 당에 있어서는 안된다. 일의 순서를 잘못 잡아 우왕좌왕했던 과오도 다시 범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경제위기 극복이 곧 문재인 정부의 성공이다. 집권4년차가 아니라 새로 집권했다는 절박한 마음가짐으로 당정청의 역량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해철 의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당정청 협력 강화, 일하는 국회로 개혁·민생입법 성과 도출, 의회와 정책 중심의 시스템을 확립하겠다"며 "결론은 일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의원은 "국회가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담보할 제도적 개선을 추진하겠다"며 상시 운영 국회체제와 국회 내 비상경제특위 설치 등을 제안했습니다.
전 의원은 "이제는 야당 핑계를 댈 수 없다"며 "청와대를 받쳐주기도 하고, 정부를 견인하기도 하는 역할을 당이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화와 타협도 필요하다. 야당 설득을 게을리 않겠다"고도 했습니다.
정성호 의원은 "20대 국회 민생입법이 어느정도 성과를 냈나 자문해야 한다"며 "열린우리당 트라우마로 (의원들이) 개인 생각을 자제하고 대통령 의견을 따라 최선을 다해왔지만, 더 진정성 있게 (야당을) 끌어내는 것은 여당 책임"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180석을 얻었지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리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라며 "이를 수단으로 개헌 협상을 잘 이끌어내고, 야당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야 한다. 민생 위기 대처의 절박함으로 야당을 설득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친문' 그룹으로 분류되는 김태년·전해철 의원과 달리 계파색이 옅은 정 의원은 "(지방선거 때) 이재명을 도운 죄가 있지만, 비문(비문재인), 반문(반문재인)은 아니다"라며 "당을 하나로 묶어 당정청 관계를 원만하게 해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들은 민주당 전체 당선인(163명)의 41.7%(68명)를 차지하는 초선의 표심을 사로잡기 위한 공약에도 힘을 실었습니다.
김 의원은 "이번에 '초선이 먼저다'라는 공약을 걸고 두 가지 약속을 드리고자 한다"며 "초선 의원들의 전문성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상임위에 우선적으로 배정하고, 공약실천지원단을 만들어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 의원도 "초선 당선자의 의견에 따라 상임위를 우선적으로 배정하고, 반드시 하고자 하는 정책실현과 제도적 개선을 대표입법 브랜드로 당 차원에서 지원하겠다"며 "당선자 각자가 전문가이자 민주당의 자산"이라고 말했습니다.
정 의원은 "초선들이 주눅들지 않게 해야 한다. 각자 의원들이 가진 장점과 특징을 제대로 발휘할 여건을 만들어내야 한다"며 "공평무사하게, 선입견이나 개인적 관계 없이 원내 당직을 배분하고 다양한 소통 창구를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일하는 국회'를 만들기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과 협치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냈습니다.
김 의원은 "숙의의 총량은 유지하되, 결정 속도는 빨리 해야 한다"며 "상시국회 제도를 만들고, 법사위의 체계·자구 심사권을 폐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협치는 당연하지만, 선의에 의지할 게 아니라 제도로 실천해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전 의원은 "국회 회의 개최 의무화에 더해, 신속처리안건 일정도 90일 정도로 단축해야 한다"며 "대화와 타협에 노력하고 나서 결단해 일의 성과를 내려고 하면 국민들이 용납해줄 것이다. 여야정 국정 상설협의체 가동도 노력할 것"이라고 했습니다.
정 의원은 "역대 국회마다 국회법을 개정해 정례화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만들고 '패스트트랙'도 만들어냈지만, 아무것도 진행이 안 된다"며 "(일하는 국회법의) 법제화를 해야지만, 결국은 원만한 여야 관계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검찰·언론개혁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습니다.
김 의원은 "검찰개혁 핵심은 수사·기소권의 분리"라며 "언론 개혁은 언론 종사자들의 개혁 의지가 중요하다.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면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
전 의원은 "공수처법을 확실히 집행하도록 노력하고, 자치경찰제와 정보경찰 통제방안이 이어져야 한다"며 "언론의 권한 남용 부분이 개혁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의원은 "공수처법의 후속 조치로 국가·지방경찰, 수사·정보경찰 분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종편의 불공정, 부당한 보도는 적절히 통제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