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포함된 G20(주요 20개국) 정상들이 코로나19 사태 속에서 기업인들의 이동 제한을 완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26일(한국시간) 오후 9시에 화상으로 열리는 이번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 이 같은 방안에 합의가 이뤄질 경우 기업인 출장은 다소 숨통을 트게 될 전망이다. 특히 이번 화상 정상회의를 문재인 대통령이 처음 제안하고, 의제를 한국이 주도했다는 점에서 정상들간에 컨센서스가 이뤄질지 주목된다.
윤재관 청와대 부대변인은 25일 브리핑을 하고 "이번 특별 화상 정상회의에서는 국제사회의 보건·방역 분야 협력을 비롯해 세계 경제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G20 국가 간 정책 공조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각국의 국경관리 조치가 기업인 등 필수적인 인적 이동을 저해하지 않는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 대한 G20 회원국들의 관심을 촉구할 예정이다. 문 대통령과 최근 통화를 한 상당수 정상들이 이 같은 필요성에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어 정상간 공동선언문에 담길 가능성이 높다.
문 대통령은 또 코로나19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있는 우리의 경험을 국제사회와 공유하고, 국제공조 방안을 밝힐 예정이다. 특히 문 대통령은 각국에서 요청이 쇄도하고 있는 효율적
G20 정상들은 26일 화상 회의를 마치는대로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국제공조 방안을 담은 정상간 공동선언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올해 G20 정상회의 의장국은 사우디아라비아다.
[박용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