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해당 결정은 한미 간 제11차 방위비분담특별협정(SMA) 협상이 불발됨에 따른 것으로, 주한미군 내 전체 한국인 근로자 9000여 명 중 5000여 명이 무급휴직 대상자다.
앞서 미국은 지난 2019년 9월부터 우리 정부와 SMA를 진행했지만, 분담금 총액을 놓고 대립해왔다.
미국은 지난 2019년 10월과 2020년 2월, 우리 정부가 분담금을 40억 달러로 인상하지 않으면 한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무급휴직을 시행하겠다고 두 차례 통보했다.
이를 놓고 일각에서 미국이 SMA를 유리하게 주도하기 위해 한국인 직원들의 월급을 '볼모'로 잡았다며 비판이 제기됐다.
로버트 에이브럼스 주한미군 사령관도 "잠정적 무급휴직은 군사작전과 준비태세에 부정적인 영향 이상의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며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바 있다.
주한미군 한국인 노조는 이날 서울 종로구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정부의 지원이 이뤄져야만 미국의 불순한 의도가 무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방
현재 우리 정부는 지난 2019년에 방위비로 분담한 1조389억원에서 10% 안팎 인상을 미국 측에 제안하고 있다.
지난해 방위비에서는 약 40% 수준인 3700억원이 한국인 근로자 임금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다.
[디지털뉴스국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