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추미애 법무부 장관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악수를 하는 모습이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우선 이준석 통합당 최고위원은 23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인권보호 수사규칙을 제정하자고 주장한 장관이 누구이고, 누구에 대한 수사를 하다가 압박으로 포토라인이 폐지됐나"라고 우회적으로 n번방 논란과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연관시켰다.
이 최고위원은 "실제 포토라인 폐지로 수혜를 입은 사람이 누구의 가족이고, 그게 수사기관 개혁의 일환이라고 포장한 정권이 누군지 다 같이 생각해야 한다"며 "n번방 사건 피의자에 대한 공분에 나도 공감한다, (하지만) n번방 피의자와 박사라는 사람 등을 포토라인에 세우기 위해서 이번에 똑바로 투표해야 한다"고 재차 조 전 장관을 부각시켰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선거대책회의 땐 "(n번방 가해자들을) 포토라인에 세울 것을 요구하는 200만명이상의 국민들에게 정부, 특히 추미애 법무부 장관은 즉각적으로 답하기 바란다"고도 했다.
이와 관련 작년 12월 법무부는 국민 알권리 차원에서 주요 용의자에 대한 검찰 소환 때 '포토라인'을 설치해 오던 관행을 전면 폐지할 것임을 선포했다. 공개소환을 사실상 없앤 것이다. 당시 조 전 장관 지지자들은 '인권보호'를 주장하며 '조 전 장관의 포토라인행'에 반대하기도 했다.
즉 이 최고위원이 당시 정부의 조치로 인해 n번방 사건 가해자들의 신상공개가 어려워졌다는 일각의 비판을 강조한 셈이다.
n번방 논란에 대한 국민적 공분은 상당하다. 청와대 국민청원에는 이날 기준 n번방 관련 '용의자 신상공개' 청원 약 230만명, 'n번방 가입자 전원 신상공개' 청원 약 160만명 등 가해자 처벌 청원이 줄을 잇고 있다.
이에 민주당은 조 전 장관과 n번방 논란은 별개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박성민 민주당 청년대변인은 같은날 논평을 통해 "통합당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며 "(통합당은) 조 전 장관을 'n번방 가해자들의 영웅'이라고 표현했으나, 이는 사건의 본질을 흐리고 정쟁을 위해 만든 황
박 청년대변인은 "이번 텔레그램 성착취 범죄를 정쟁에 결부시켜 본질을 흐리려는 통합당의 행태에 깊은 유감을 표한다"며 "성범죄 근절을 위해 정쟁이 아닌 여야의 초당적 협력이 필요한 때임을 기억해야 한다"고도 했다.
[디지털뉴스국 우승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