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정 대사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국제공항에서 취재진에 "주한미군 내 한국인 근로자 무급 휴직 문제는 당연히 조속히 해결돼야 한다"며 "안정적인 근로 여건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주한미군의 안정적 주둔과 한미동맹, 연합방위 태세를 위해서 어떤 경우에도 한국인 근로자 무급휴직 사태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것에 양국이 인식을 같이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한미 양국은 지난 2019년 9월부터 제11차 방위비분담 특별협정(SMA)을 진행해왔지만, 양측이 제안하는 금액의 차이가 커 타협점을 찾는데 난항이 지속하고 있다.
미국은 우리 몫의 방위비로 40억 달러를 요구하고 있고, 우리 측은 지난해 분담한 1조389억원에서 10% 안팎 인상을 제안 중이다.
양측은 지난 17일부터 3일간 진행한 7차 회의에서도 분담금을 최종 합의하지 못했다.
현재 미국은 방위비를 인상하지 않으면 오는 4월 1일부터 주한미군 내 한국인 근로자에 무급휴직을 시행하겠다고 압박 중이다.
정 대사는 "혹시라도 있을 수 있는 한국인 근로자 무급 휴직 문제와 관련해선 관련 부처와 협의하고 있고, 필요할 경우 주한미군사령부와 긴밀하게 협의를 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오는 4월 이전에 한미 양국이 협상을 재개하느냐는 질문에 "코로나19와 관련한 여러 여건상 대면 회의를 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판단"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전화와 이메일 등 다양한 소통 수단이
아울러 "(방위비) 총액의 내용 면에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한 단계이지만 계속 조금씩 좁혀져 나가는 상황"이라며 "어떤 경우에도 인내를 가지고 협상을 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현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