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는 20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 태세로 전환한 지 60일을 맞는다.
두 달가량 모든 역량을 투입하면서 이미 '경제 정면돌파전'이 차질을 빚고 있지만, 코로나19가 세계적 대유행(팬데믹) 시대로 들어서고 심화하는 양상을 띠고 있어 북한이 그 충격파를 피해가긴 어려울 전망이다.
19일 통일부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월 21일 코로나19 관련 첫 보도를 기점으로 사실상 '총력 대응'에 돌입했다. 이어 1월 24일 국가비상방역체계를 선포한 데 이어 국경 폐쇄 조처를 내리고 제재 하에서 유일한 외화벌이 수단인 외국인 관광도 전면 중단했다. 전 세계 유례없는 '최장 40일 격리'도 실시했다.
지난달 말에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노동당 정치국 확대회의를 열고 '초특급 방역 대책'을 직접 주문했다.
이렇듯 '국가 밀봉' 수준의 대책이 두 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그렇지 않아도 심한 경제난이 가중됐을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현재 코로나19 차단을 위해 해외에서 들여오는 모든 물자에 대해 검역을 강화하고 특히 10일간 무조건 '자연방치'토록 조치했는데, 대북 제재 속에서 간신히 이뤄지는 물자의 통제는 민생과 경제에 타격을 줄 것으로 보인다. 실제 대남선전매체 '우리민족끼리'도 지난 10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면서까지 초특급 방역 조처를 한다"며 코로나발(發) 타격을 우회적으로 시사했다.
병원 건설은 지난해 노동당 전원회의에서 결정된 사안이지만 코로나19 사태가 완공시기를 노동당 창건 기념일로 앞당기는 '급조 결정'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온다.
당장 내달 15일 김일성 생일에 맞춰 예정된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의 완공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이미 앞서 두 차례나 완공이 연기된 상황에서 김 위원장이 올해 '태양절'(김일성 생일)까지는 완벽하게 끝내라고 지시했지만
양문수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코로나19로) '셀프 봉쇄'를 하면서 제재 국면 때보다도 경제가 안 좋은 상황일 것"이라며 "공사를 위한 각종 원자재와 설비 마련에 한계가 있어 연기를 시사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