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 경실련] |
16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하 경실련)에 따르면, 2019년 3월 신고 기준으는 20대 국회의원 300명 중 223명이 346채의 아파트와 오피스텔(이하 아파트)을 보유하고 있었다. 분석대상은 지난 2월 26일 발표 때와 같으며 전체 부동산 중 시세파악이 가능한 아파트와 오피스텔로 시세 조사는 국민은행 부동산 시세를 적용했다.
분석결과 서울이 지역구가 아닌 의원들 다수가 서울, 특히 강남권에 집중적으로 아파트를 보유해 서울에 매우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국회의원들이 보유한 346채 중 서울 아파트는 171채로 전체의 49%를 차지했다. 서울에서도 강남·강동·서초·송파 등 강남 4구에 보유한 아파트는 82채로 서울의 48%(전체의 24%)에 달했다.
지역별 의석수와 비교한 결과 서울 의석수는 비례포함 58석인데 반해 보유 아파트는 171채로 의석수 대비 3배였으며, 의석보다 113채나 많았다. 특히 강남4구는 의석수가 13석인데 반해 보유 아파트는 82채로 의석수 대비 6.3배로 집계됐다. 경기도는 의석수 71석에 보유 아파트 71채로 주택과 의석이 같았다.
반면 서울경기 이외 지방은 의석은 171석(전체 의석 비중은 56.9%)인데 보유 아파트는 104채(전체 주택의 30.1%)로 의석수 대비 0.7배 뿐이었다. 이는 전체 평균 1.1배보다 낮은 수준인데다 서울, 강남과 비교하면 각각 1/5, 1/9 수준이었다.
의석수와의 차이가 가장 많은 지역은 경남과 경북이었다. 경남은 의석수는 비례포함 19석인데 보유 아파트는 9채에 불과했다. 경북도 의석수는 16석인데 아파트는 5채에 그쳤다. 경남, 경북 모두 의원 보유 아파트가 의석수 대비 0.3배로 가장 낮았다. 권역별로는 영남권이 의석 77석에 아파트 42채로 0.6배, 호남권은 37석에 아파트 18채로 0.5배였다.
이들이 의정활동을 한 4년 동안(2016년 3월~2020년 1월)의 지역별 아파트값 상승액은 서울 6억2000만원, 강남4구 8억6000만원, 경기도 1억5000만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울 이외 지방은 7000만원 상승, 서울 경기를 제외한 지방은 2000만원 상승에 그쳤다.
서울이 서울 이외 지역보다 8배, 강남권은 12배 올랐고, 서울 경기 이외 지방과 비교할 경우 서울은 35배, 강남권은 48배 더 올랐다.
의원들이 보유한 아파트값의 지역별 평균은 서울 16억 2000만원, 경기 5억 9000만원, 서울 경기 이외 지방은 3억1000만원이었다. 총액 기준으로는 강남권이 1789억원, 서울은 2776억원, 경기 422억원, 서울경기 이외 지방 320억원이다. 비중으로는 강남권만 50.9%였고, 서울은 78.9%, 서울+경기 90.9%로 아파트보유보다 가격 편중이 더 심각했다.
경실련 관계자는 "지역 심부름꾼으로 뽑힌 의원조차 자기 지역이 아닌 강남권, 서울,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