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김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대의를 잘 가꾸어나가지 못했고 이제 바른미래당으로는 되살릴 수 없게 되었다"며 "저는 바른미래당을 떠나기로 결심했다"고 적었다.
그는 "잘못된 합당의 주역들이 분란의 축이 되었고 결국 당을 이리저리 찢어버렸다. 당 대표는 비상한 전환점을 만드는 대신 파국의 인사로 쐐기를 박아버렸다"며 "힘을 합치고 당을 바로 세우려는 시도들은 무력했고, 저도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험난한 길일지라도, 낡은 정치판을 바꾸고 미래세대를 중심으로 산업화와 민주화 시대를 넘어서 정치적 시대교체를 이루는 일에 무소속으로 작은 힘이라도 보탤 것"이라고 밝혔다.
김 의원은 오는 6일 탈당계를 내고 무소속으로 총선을 치를 예정이다.
전날 이찬열 의원에 이어 김 의원이 탈당하면 바른미래당 의석수는 18석으로 줄어든다.
김관영 의원도 6일 탈당계를 제출할 계획이다.
바
상당수 의원이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손 대표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가운데 손 대표는 이날 오전 대안신당·민주평화당과의 통합 추진을 선언하며 퇴진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정은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