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링크PE·웰스씨앤티·익성·WFM과 돈거래 없어"
"조범동, 조국 5촌 조카라고 한 적 없어…특혜 아니라 피해 봤다"
'조국 펀드' 연루 의혹을 받는 피앤피플러스 서재성 대표이사는 13일 "(조국 법무부 장관 일가의 사모펀드 운용사인) 코링크프라이빗에쿼티로부터 지금까지 1원 짜리 한 장 투자받은 사실이 없다"며 "코링크PE가 투자했던 웰스씨앤티를 포함해 지금 수사 선상에 오른 익성, WFM 어느 곳도 저와 돈거래가 없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서 대표는 이날 자유한국당 유민봉·이은권 의원실 공동개최로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원래 친분이 있던 웰스씨앤티 최태식 대표와 4년간 1억 원 남짓 빌려주고 받은 것은 부인하지 않겠지만 코링크PE가 저희 컨소시엄으로 참여한 적은 없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서 대표는 피앤피플러스의 전 사업부문 총괄 대표 조모씨와 함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 증인에 포함됐습니다.
그동안 야권 등에서는 코링크PE와 연결된 피앤피플러스컨소시엄 측이 투자 약정을 맺은 뒤 서울지하철 공공 와이파이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돼 '조국 펀드' 특혜를 받은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돼왔습니다.
서 대표는 간담회에서 코링크PE로부터 특혜를 받은 사실이 없다는 취지의 주장을 일관했습니다.
서 대표는 "2016년 7월 조범동 씨와 이창권 씨를 소개받았고 조씨가 '익성'이라는 회사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었다"며 "익성이 피앤피 주주로 참여하는 게 나쁠 게 없다는 생각에 초창기 지분 중 20% 해당하는 5천만 원을 익성에서 투자받았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2016년 11월 입찰에서 탈락하자 코링크PE가 익성 돈 5천만 원과 코링크 관계자 이상훈 씨 명의로 된 2천만 원 주식을 합해 총 7천 만원을 빼달라고 했다"며 "2017년 1월 합의서를 쓰고 코링크PE와 익성에 돈을 돌려준 뒤 코링크PE와의 관계는 단절된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그러나 2017년 3월 서울시 감사위원회 감사에서 피앤피가 탈락한 입찰의 우선협상대상자 선정이 잘못됐다는 결과가 나오자, 코링크PE에서 피앤피에 다시 찾아왔다"며 "조범동 씨는 '입찰 재평가 후 피앤피에 우선협상대상자 컨소시엄사가 있으면 50억 원 이상을 코링크PE로 넣어달라'는 제안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서 대표는 "이후 코링크PE의 제안을 거부했고, 2017년 9월 서울시 입찰에서 피앤피가 우선협상대상자가 됐는데 코링크PE 측에서 조범동 씨가 아닌 다른 사람을 통해 투자의향서 100억 원을 보냈다"며 "투자 의향서는 '투자 검토를 시작하겠다'는 뜻일 뿐 법적 구속력이 전혀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서 대표는 또 코링크PE가 투자한 가로등 점멸기 업체 '웰스씨앤티'로부터 2017년 8월 25억 원의 투자확약서를 받은 데 대해서는 "웰스씨앤티 최태식 대표와는 20년 이상 알고 지내는 관계로, 총사업비 1천562억 원 중 1%가 조금 넘는 25억 원의 투자확약서를 받은 것"이라고 해명했습니다.
이어 "그 1%로 우리 사업을 좌지우지 할 수 있을 정도인지 모르겠다"며 "어쨌든 코링크PE, 웰스씨앤티 측에서 1원짜리 한 장 투자받은 적이 없었고, 웰스씨앤티 최태식 대표와 4년 간 1억 원 남짓 빌려주고 받은 것은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서 대표는 '조범동 씨가 조 장관의 5촌 조카라고 밝힌 적이 있느냐'는 질문에 "그런 적은 없었다"며 "아마 흘러가듯 말했어도 제가 (조씨 측 제안을) 안 받았을 것 같다. 그냥 사돈의 팔촌쯤으로 받아들였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서 대표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도 "웬만한 사람들은 조범동 씨가 조국 조카라는 말을 못 들었을 것"이라며 "우리는 조국과 무관하며, 돈거래는 조범동 씨 측과 안 했다"고 거듭 해명했습니다.
그러면서 "일련의 과정에서 서울시 측의 설명하기 어려운 이상한 행위들이 끊임없이 있었다"며 "2차 입찰 공고 후 피앤피가 수의계약을 따기 직전 입찰을 취소하고, 몇개월 뒤 다
서 대표는 "피앤피를 떨어뜨리고 낙찰된 업체가 서울시 교통본부 관계자와 친인척 관계라고 안다"며 "입찰에 수차례 떨어졌던 사이 조범동 씨에게 계속 연락이 왔고, 이를 거절할 때마다 이상한 일이 일어났다. 우리는 특혜를 본 게 아니라 피해를 강요당한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MBN 온라인 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