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멘트 】
낮은 당 지지율 탓에 내년 총선 걱정이 큰 민주평화당이 당 내분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현 체제에서 자강을 하자는 당권파와 3지대를 만들어 외부 인사들을 영입해야한다는 반대파가 맞서면서 분당 가능성까지 거론되고 있는데요.
오늘 밤 의총이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이동화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제3지대론을 주장하며 새로운 길을 가야한다는 중심에는 유성엽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등 강경파들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일부 의원들은 '3지대 준비 모임'까지 만들었고, 비대위 체제로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탈당'까지 불사하겠다는 입장인데 이면에는 정동영 대표 체제에 대한 불만도 상당합니다.
최고위원과 대변인 등 주요 당직자를 임명하는 과정에서 고성이 오가는 등 감정의 골도 깊습니다.
▶ 인터뷰 : 유성엽 / 민주평화당 원내대표
- "제3지대의 촛불을 되살려 국민의 열망에 부응하는 변화와 희망의 정치 세력으로 거듭나고자 하는 숙고의 활로입니다."
정동영 대표를 중심으로 한 당권파는 자강론을 앞세우고 있습니다.
당내에 특위를 만들어 논의하자는 건데 제3지대에 힘을 실을 바른미래당 내 일부 의원 등이 아직 유보적인만큼 신중해야 한다는 겁니다.
▶ 인터뷰 : 정동영 / 민주평화당 대표
- "당의 큰 변화를 위해서 제3지대 형성을 위한 노력을 당내의 특별기구를 통해서 하면 된다는 점을 제안합니다."
여기에 원외위원장들까지 논쟁에 가세하며
당내 갈등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습니다.
▶ 인터뷰
- "몇몇이 모인 의원총회에서 비대위 구성을 논한다는 것은 어림없는 일이다. 의총은 그런 결정을 할 자격이 없는 회의체다."
심야 비공개 의총에서 의원들간 끝장 토론을 예고한 가운데, 오늘밤 평화당의 미래가 사실상 판가름날 전망입니다.
MBN뉴스 이동화입니다. [idoido@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