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4당의 선거제·개혁법안 우선처리안건(패스트트랙) 지정 강행과 자유한국당의 장외투쟁, 여권 인사들의 만찬회동 논란으로 인해 '5월 임시국회'가 열리지 못하고 6월을 앞둔 가운데, 한국당 내부에서 국회 복귀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점차 커지는 분위기다. 장외 투쟁의 1막이 마무리된 만큼 일단 국회 정상화를 도모해 민심을 얻을 동력을 키우자는 주장이다. 특히 친여권 성격이 강한 수도권에 지역을 둔 의원들 사이에서 이같은 의견이 조심스럽게 개진되고 있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인 윤상현 한국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장외투쟁을 통해 문재인정권에 맞서는 정당은 한국당 뿐이라는 큰 성과를 얻었다. 총선 승리의 희망도 보이기 시작했는데, 황교안 대표와 나경원 원내대표의 공이 크다"면서도 "이젠 국회로 돌아갈 시간"이라고 제언했다. 그는 "경제성장률은 계속 떨어지고 있고, 북핵 위기는 조금도 해결되지 않았다. 국제 관계도 악화돼, 사실상 동아시아 왕따가 돼가고 있다"고 평한 뒤, "민들은 자유한국당이 국회에서 강하게 싸워주기를 원하고 있다. 경제무능·안보무능·외교무능·인사무능과 국회에서 싸워야 대한민국 위기에 불안을 느끼고 있는 국민의 마음을 얻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윤 위원장은 "국회 등원에 특별한 명분이 필요한 것이 아니다. 장외투쟁도 우리가 결정했듯이 등원도 우리가 결정하면 된다"며 "국회를 열어 국정원의 총선개입 의혹 문제를 짚고 싸워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위원장의 제언은 당내 수도권 의원들 사이에서도 심도있게 회자되는 주장이다. 약 한 달 간의 장외투쟁으로 '전투력'을 충분히 증명한 만큼 제도권 내 활동에 힘을 실어야 문재인정권에 돌아선 민심을 야당이 확보할 수 있다는 논리에서다. 한국당의 한 재선 의원은 매일경제와 만나 "패스트트랙 국면이 일방적이었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왜 한국당이 필사적으로 막는지' 이유를 모르는 국민들이 많다"며 "국회가 열리지 않아 오히려 우리가 국회 파행의 주체라는 시각을 걷어내기 위해서는 국회 등원이 맞는 얘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여러가지 이슈로 2년 전과 비교해 20·30대 젊은층이 정부에 적잖이 등을 돌렸는데, 그들이 한국당을 당장 지지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정부에 비판적인 민심을 끌어오려는 노력을 해야 총선에서 살 길인데, 정부 비판이 늘었다고 그것에만 매달린다면 총선을 장담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한국당 고위관계자는 "충청 이남 지방에서는 야당의 지지세가 차츰 올라온다고 보는 듯 하지만, 수도권은 아직 냉랭한 편"이라며 "장외투쟁의 성과가 분명히 있다고 판단하지만, 총선이 10개월 남은 시점에서 한국당이 보여줄 모습은 원내에서의 정책대결과 총선 대비 시스템 정비"라고 진단했다.
일단 한국당은 패스트트랙과 관련한 여당의 조치가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전날 기자회견을 연 황교안 대표는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