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오늘(7일) 교육과학기술위 등 13개 상임위의 소관부처를 대상으로 국정감사 이틀째 일정을 이어갑니다.
국회 취재기자 연결해서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오대영 기자!
【 질문 】
오늘은 주로 어떤 내용이 쟁점이 될 전망인가요?
【 기자 】
우선 서울시교육청 감사에 나서는 교육과학기술위원회에서는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의 선거자금 개입 문제가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입니다.
민주당은 공정택 서울시 교육감이 지난 7월 교육감 선거 당시 학원 관계자들로부터 7억 원을 빌렸다는 논란을 집중 부각시킬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 한나라당은 중고등학교 교과서 편향 논란을 이어갈 계획인데요, 참여정부 당시 이미 이념적으로 편향된 문제점을 발견하고서도 그대로 검정을 통과시켰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대해 감사를 벌이는 행정안전위원회에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국가기록물 유출 지시 여부에 대한 한나라당의 집중 추궁이 계속될 될 전망입니다.
행정안전위 소속 안경률 한나라당 의원은 오늘 국감대책회의에서 "전직 대통령 주도로 철저하게 계획된 불법 행위였다"며 "필요하다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조사도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종부세에 초점을 맞출 생각인데요, 종부세를 완화하면서 축소될 지방예산과 촛불시위에 참여했던 유모차 수사의 문제점을 낱낱이 따져 물을 생각입니다.
이 밖에 기획재정위에서는 금융 위기에 따른 정부 대책이, 보건복지위에서는 멜라민 사태로 불거진 뒷북 행정이,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에서는 '사이버 모욕죄'와 '인터넷 실명제' 신설 등이 쟁점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외교통상부를 대상으로 한 외통위 국감에서는 북한의 핵시설 불능화 복구선언으로 표류중인 북핵문제를 점검합니다.
한편, 여야는 국감 이틀째 일정에 앞서 대책회의를 열어 전략을 논의했습니다.
한나라당은 이번 국정감사가 이명박 정부의 남은 임기를 정착시킬 기회로 삼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이번 국감에서 앞으로 추진할 정책들을 집중 질의하고 대안을 마련하자"고 강조했습니다.
민주당은 첫날 국감에서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자축하면서도, 정부의 자료제출이 불성실하다고 지적했습니다.
원혜영 민주당 원내대표는 "자료제출에 대해 누차 촉구했지만 나아지지 않고 있다"며 "불법적 자료제출 거부를 중단하고 성실히 응하라"고 경고했습니다.
지금까지 국회에서 mbn뉴스 오대영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