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인질들이 구출된 곳은 아프리카의 부르키나파소로 국경 지역을 중심으로 테러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곳입니다.
함께 구출된 우리나라 국민의 경우 사전에 신고 등이 없어 우리 정부가 사전에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근희 기자와 뉴스추적에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 질문 1 】
김 기자, 우선 부르키나파소, 아프리카 지역이어서 그런지 이름부터 생소합니다.
어떤 곳인지를 먼저 설명 부탁드리겠습니다.
【 기자 】
지도를 보시면 서아프리카에 위치한 곳으로 인구의 60%가 이슬람을 믿는 국가입니다.
최근 이 부르키나파소 일대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IS와 알카에다 등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 세력의 각종 테러와 납치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말리에 근거지를 둔 이슬람 무장세력들이 영향력 확대를 시도하면서 부르키나파소의 치안이 불안정해지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우리 외교부도 부르키나파소에 대해 말리, 니제르와 맞닿은 국경 지역은 철수를 권고하는 적색 경보, 나머지 지역 역시 여행 자제인 황색 경보가 내려진 상태입니다.
【 질문 2 】
그런데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28일 동안 억류돼 있었다고 하던데요.
우리 정부는 왜 프랑스군이 작전에 들어가서 확인하기 전까지 몰랐던 겁니까?
【 기자 】
해외 납치 피해 알게 되는 경우가 여러 경우가 있습니다만, 이번 사건의 경우 이 일대에서 우리 국민의 실종 신고가 없었다고 합니다.
부르키나파소는 우리나라 대사관이 없고 코드디부아르 대사관이 겸임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교민도 44명밖에 없기 때문에 이 지역 일대에서 우리나라 국민의 실종 상황 파악은 더 어려웠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또한 납치 세력이 우리 정부나 프랑스 정부쪽에도 아무런 연락이 없었기 때문에 미국 정부도 자국민이 인질로 있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합니다.
【 질문 3 】
그런데 왜 실종 신고가 없었던 건지는 확인됐습니까?
【 기자 】
아직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종됐는지, 왜 신고 등이 없었는지 자세한 경위는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여성 역시 다른 프랑스인들처럼 이 지역 일대에서 여행을 했다가 납치됐을 가능성도 나옵니다.
아프리카 지역의 경우 장기간 여행을 하는 경우도 있어서 가족들 역시 실종 사실을 몰라서 신고가 이뤄지지 않았을 가능성이 나옵니다.
또한 통상 해외 납치가 이뤄지게 되면 피해 가족들에게 연락을 하게 되기도 하는데 그같은 조치도 없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 질문 4 】
이번에 인질들을 납치한 조직이 '카티바 마시나'라고 하는데요.
이런 조직들이 납치를 하는 이유가 뭡니까?
【 기자 】
이같은 이슬람 무장 세력들의 1순위는 무장 투쟁에 필요한 돈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몸값으로 직접 현금을 요구하거나 인신 매매 시장에 넘기는 방식 등의 범죄를 통해 돈을 조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요.
2015년 말리 내전 당시 창설됐는데 말리 중부를 근거지로 이슬람 제국 건설을 목표로 내세우며 각종 테러 활동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들은 이번에 납치한 인질들을 근거지인 말리로 끌고 가기 위해 부르키나파소에 대기하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인질들이 말리로 넘어가게 되면 사실상 구출 작전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프랑스군도 마지막 기회라고 보고 작전을 벌였다고 밝혔습니다.
【 질문 5 】
그런데 이 일대에 치안이 이렇게 심각한데도 외부인들이 이 지역을 찾은 이유가 있습니까?
이번에 구출된 프랑스인들도 관광객이었다고요?
【 기자 】
부르키나파소 인근에 베넹이라는 나라가 있는데요.
프랑스인 2명의 경우 베넹의 북서쪽에 있는 펜드자리 국립공원에서 납치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 펜드자리 국립공원은 열대 우림은 물론 코끼리 등 야생동물 서식지로 2017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된 곳입니다.
그만큼 자연경관이 유명한 서아프리카의 대표적인 관광지인데요.
베냉은 다른 아프리카 국가에 비해 치안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곳이지만 이곳에서 납치돼 부르키나파소로 이동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우리나라 국민의 경우 어디서 어떻게 납치됐는지는 구체적인 경위는 확인되지 않은 상태입니다.
【 앵커멘트 】
다행히 이번에 구출된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현재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앞으로 이같은 납치 피해를 막기 위한 정부의 철저한 후속 대책 마련이 필요해보입니다.
지금까지 정치부 김근희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