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재인 대통령이 2일 청와대에서 열린청와대 사회원로 초청 오찬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
문 대통령은 전날 사회원로 초청 오찬에서 국정·사법농단 사태를 언급하며 "빨리 진상을 규명하고 청산이 이뤄진 다음, 그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어나가자는 데 대해서 공감이 있다면 그 구체적인 방안에 대해 얼마든지 협치하고 타협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언했다.
이 핵심관계자는 이날 기자들을 만나 "많은 언론이 적폐청산이 먼저 이뤄지면 그 다음에 타협할 수 있다는 '선(先)청산·후(後)타협' 기조로 보도했다. 이는 마치 타협하지 않겠다는 뜻으로도 읽힌다"며 "그러나 문 대통령의 메시지는 청산이 이뤄진 뒤 그 성찰 위에서 협치와 타협을 하겠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문 대통령 언급에도 있지만, 국정·사법농단이 사실이면 반헌법적이자 헌법 파괴적인 것이라 타협이 쉽지 않다"면서도 "동시에 문 대통령의 발언에는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성찰이나 공감이 있으면 얼마든 협치와 타협 가능하다는 뜻 또한 담겨 있다"고 강조했다.
기자들이 "문 대통령의 발언에도 '청산이 이뤄진 다음' 이라는 언급이 들어가 있지 않느냐"고 질문하자, 이 관계자는 "성찰 위에서 새로운 나라를 만들자는 데 대한 공감을 말씀드리고자 한 것"이라고 거듭 밝혔다.
이 관계자는 "너무 이분법적으로 '적폐청산이 이뤄져야 타협이 있다'고
또 "모든 사안을 무 자르듯 이분법적으로 볼 수는 없다. 청산을 아무것도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청산이 이뤄진 다음 성찰과 공감이 있다면 협치와 타협이 가능하다는 것인데, 본의와 다르게 해석되는 것 같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