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공직을 마친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재취업 권고 매뉴얼을 마련하기로 했다. 최근 청와대 출신 행정관들이 민간 금융회사에 곧바로 고액 연봉을 받고 재취업해 논란이 불거지자 이를 불식시키기 위한 청와대의 대응책 중 하나로 해석된다. 야권에 따르면, 이같은 내용은 청와대 비서실이 3일 국회 운영위원회로 보낸 '청와대 근무자의 퇴직 후 재취업 관련 방안' 문건에 담겨져 있다. 문건에서 청와대는 "퇴직자의 국정보좌 경력을 활용해 사회 공익적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에서 맡았던 담당 업무와 연관된 분야에 '공익' 파트에서 일해달라는 가이드라인인 셈이다. 청와대 경력으로 사익을 추구하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청와대는 또 "엄정한 취업심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취업관리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다만 내부적으로 검토 중인 인사관리 등 관련 사항으로 상세히 답변드리기 어려움을 양지하여 주시기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매뉴얼이 나온 계기는 황현선 전 청와대 민정수석실 행정관의 거취인 것으로 분석된다. 황 전 행정관은 구조조정 전문회사인 연합자산관리(유암코) 상임감사로 자리를 옮겼는데, 연볼이 대략 2억4000만원 가량인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1월 청와대에서 3급으로 퇴사한 한정원 전 대통령비서실 행정관도 청와대 퇴직 2개월 만에 연봉이 약 5억
[김명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