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해외에 거주하는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오늘(4일)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했습니다.
이날 '100년의 역사, 함께 기억하겠습니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행사에는 미국·중국·러시아·카자흐스탄·호주·캐나다·브라질·일본 등 8개국에 사는 독립유공자 후손 64명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 중에는 영국 출신 독립운동가로 건국훈장 대통령장이 추서된 어니스트 토머스 베델 선생의 손녀 수전 제일 블랙 여사, 애족장을 받은 장병훈 선생의 외손녀로 미국에 거주하는 심순복 여사 등이 포함됐습니다.
정부에서는 피우진 국가보훈처장과 한완상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 청와대에서는 노영민 비서실장과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김수현 정책실장 등이 참석했습니다. 박유철 광복회장도 행사에 초대됐습니다.
행사 시작 전 영빈관 앞에서 독립유공자 후손들을 기다리던 문 대통령은 참석자들에게 일일이 인사하며 기념촬영도 함께했습니다.
행사가 시작되고 순국선열에 대한 묵념 후 먼저 소감을 발표한 박유철 광복회장은 "3·1절 100주년을 맞아 저희를 한국에 초청해주시고 성대하게 오찬을 베풀어주신 문 대통령 내외에 감사드린다"고 말했습니다.
박 회장은 "대통령께서 한반도 평화를 위해 많은 공을 들이고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며 "과업이 꼭 성공하기를 기원한다"고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인사말에서 "독립유공자들의 희생과 헌신이 대한민국의 뿌리라는 것을 되새기고 커다란 자긍심을 느낀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습니다.
건배 제의는 한완상 임시정부수립 100주년 기념사업추진위원장이 맡았습니다.
한 위원장은
그러면서 "3·1평화 정신이 광화문 광장 등에서 촛불시위로 부활했던 사실을 기억할 뿐만 아니라 평화, 정의, 번영이 활짝 꽃피는 조국을 결단하는 정신을 담아 건배하자"고 제의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