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문 대통령, 한국당 추천 5.18조사위원 재추천 요구 [사진 제공 = 연합뉴스]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서면 브리핑에서 "블랙리스트라는 말이 너무 쉽게 쓰인다. 블랙리스트의 부정적 이미지가 우리들 머릿속에 강렬하게 남아있는데, 문재인 정부의 인사정책에 그 딱지를 갖다 붙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면서 이명박·박근혜 정부 당시의 블랙리스트 작성 의혹과 이번 사안의 차이를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우선 대상이 다르다. 2018년 5월 발표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조사 및 제도개선위원회' 진상조사 결과를 보면 (과거 정부에서 지원사업에 배제된) 대상은 민간인들이다. 영화·문학· 공연·시각예술·전통예술·음악·방송 등에 종사하는 분들이 목표였다"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그러나 이번 환경부 건은 공공기관의 기관장, 이사, 감사들로 국민 전체에 봉사하고 국민에게 책임을 지는 것을 본질로 하는 분들"이라며 "짊어져야 할 책임의 넓이와 깊이가 전혀 다르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또 "숫자도 비교가 되지 않는다. 이명박·박근혜 정부 8년여 동안 관리한 블랙리스트 관리 규모는 2만1362명에 달하고, 피해가 확인된 것만 8931명의 문화예술인과 342개 단체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한국당 등 일부 야당이 '블랙리스트 작성, 청와대 개입 근거'라고 주장하는 '환경부 산하기관 임원들의 사퇴 등 관련 동향' 문건을 보면 거론된 24개의 직위 가운데 임기 만료 전 퇴직이 5곳에 불과하다"라고 했다.
김 대변인은 "문건에는 사실관계조차 잘못됐다는 것이 지난 연말 국회 운영위에서 밝혀진 바 있다"며 "환경부뿐 아니라 다른 산하기관 인사들 대부분 임기를 보장받았고, 연장 근무까지 한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통계를 만들어 공개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 대변인은 또 "작동 방식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법원이 판결을 통해 정의한 블랙리스트 개념을 보면 '지원을 배제하기 위해, 계획을 세우고, 정부조직을 동원해, 치밀하게 실행에 옮길 것' 등이다. (이번 사안이) 네 조항 가운데 어디에 해당하는지 엄밀히 따져달라"라고 강조했다.
김 대변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