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악수하는 황교안 전 총리와 오세훈 전 시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당 선관위는 이날 2시간 20분여 회의 끝에 2017년 19대 대선후보 경선 사례 등을 고려해 만장일치로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 선관위는 이번 전대에서 당대표·최고위원 선거의 후보등록 신청자가 경선 기탁금을 납부하고 입당원서 또는 당비를 정기납부했다는 출금이체 신청서를 제출한 뒤 당헌·당규 규정에 따라 입당한 경우, 비대위에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할 수 있도록 의결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는 당원규정 제2조4항에서 '중앙당 공천관리위원회 등의 요청이 있는 경우 최고위원회의의 의결로 책임당원 자격부여 요건을 변경할 수 있다'는 내용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오 전 시장과 황 전 총리는 현재 책임당원이 아니지만, 앞으로 비상대책위원회의 의결을 거쳐 책임당원 자격을 부여받아 전대에 출마할 수 있게 된다.
두 사람, 그중에서도 특히 황 전 총리는 당비를 1년 중 3개월 이상 내고 연 1회 이상 당에서 실시하는 교육 등에 참석한 당원을 뜻하는 책임당원 자격이 아니어서 출마 자격 시비가 일었다.
그러나 이번 결정으로 이 요건을 채우지 않고서도 경선 기탁금과 입당원서를 내고 당헌·당규에 따라 입당한 것을 입증하기만 하면 당권에 도전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이날 선관위는 또한, 후보자예비심사(컷오프) 관련 사항도 논의했다.
컷오프 기준 인원은 당대표 4명, 최고위원 8명, 청년최고위원 4명으로 했다. 후보 등록 인원수가 기준 인원을 초과할 경우 컷오프된다.
다만 컷오프 탈락 대상자가 1명일 경우에는 컷오프되지 않는다. 당대표 경선에 5명이 신청했다면 컷오프는 없는 식이다.
![]() |
↑ 회의 결과 설명하는 박관용 선관위원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당대표 컷오프는 선거인단 70%·일반국민 30%의 비율로 여론조사를 통해 시행된다. 최고위원·청년최고위원은 선거인단 100%의 여론조사를 거친다.
컷오프 여론조사는 2월 19일 실시하며, 결과는 다음날인 2월 20일에 발표된다.
컷오프 후 본경선은 2월 23일 오전 6시부터 오후 5시까지 책임당원과 일반당원 대상으로 모바일 투표를 한다.
모바일 투표에 참여하지 못할 경우 2월 24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현장 투표를 하며, 2월 27일 전당대회 당일 실시되는 대의원 투표는 전대준비위원회와 추후 협의후 결정할 계획이다.
합동연설회는 2월 14일 대전에서 충청권·호남권 연설회를 시작으로 2월 18일
TV토론회의 경우 본경선에서 2회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방송사와 협의에 따라 컷오프 시행 전 1회를 추가로 실시하는 것도 검토키로 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