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윤근 주러시아 대사와 관련한 비위를 보고했다가 부당하게 쫓겨났다고 주장하고 있는 전 청와대 특별감찰반 김태우 수사관이 자신을 두고 "이번 정권의 미움을 받아 쫓겨난 희생양"이라고 표현했습니다.
김 수사관은 오늘(17일) 공개된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전에 일했던) 이명박·박근혜 정권 특감반 당시에도 이런 일은 없었다"며 "청와대는 어떤 수를 써서라도 나를 감옥에 보내려고 하겠지만, 내가 해야 할 말은 계속 할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습니다.
앞서 김 수사관은 언론에 보낸 이메일 제보를 통해 자신이 우 대사의 비위 의혹을 보고했으나 조치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오히려 이 탓에 자신이 복귀조치라는 징계를 받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를 두고 김 수사관은 우 대사 의혹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라며 "내가 써서 윗선에 보고한 첩보 중 제대로 처리되지 않은 것들이 우 대사건 이외에도 많다. 그런 것들이 많지만 밝히지 않겠다"고 말했습니다.
김 수사관은 "나는 우 대사뿐만 아니라 여당 출신 고위 공직자, 공공 기관장 등에 대한 비리 보고서도 작성해왔다. 나는 '비리 첩보'에 특화된 사람이다. 일단 문제가 포착되면 여야를 가리지 않고 감찰 활동을 한다"며 "정권의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민감한 보고서를 계속 쓰다 보니 나에 대한 내부 시선이 안 좋아지는 걸 많이 느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박형철 비서관과 조국 민정수석은 나를 소모품으로 여기고 부담되니까 버렸다"고 토로하기도 했습니다.
김 수사관은 "내 핸드폰은 청와대가 가져간 뒤 돌려주지 않고 있어서 지인들과 연락도 못 하고 있다"며 "지금은 가족과 지내고 있다. 갑자기 긴급체포를 당할 수 있다는 두려움도 든
한편, 김 수사관이 제기한 우 대사 관련한 의혹에 대해 청와대는 적극적으로 반박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 대사 본인 역시 "내가 야당 원내대표로 있던 시절인 (2015년에) 검찰에서 다 불러서 조사하고 나는 부를 필요도 없다며 종결한 사안"이라고 일축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