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여당이 서울 여의도 면적의 116배에 달하는 부지, 약 3억 3천㎡를 군사시설 보호구역에서 해제한다고 발표했습니다.
1994년 17억 1천800만㎡를 해제한 이후 가장 큰 규모인데, 해당 지역 주민들은 크게 환영했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연장현 기자가 현장에 가봤습니다.
【 기자 】
경기도 고양의 한 대학 건물을 둘러싼 부지입니다.
군사분계선에서 25km 안에 있거나, 중요 군사시설로부터 500m 이내에 있다는 이유로 45년째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묶여 있었습니다.
▶ 스탠딩 : 연장현 / 기자
- "제 뒤로 보이는 부지의 땅 소유자들은 토지 개발 시 반드시 군의 허락을 받아야 했습니다. 하지만 이르면 이달 중순부터는 군 허가 없이 자유롭게 재산권을 행사할 수 있게 됩니다."
정부와 여당이 군사시설 보호구역을 대거 해제하기로 하자, 해당 지역 사람들은 크게 반기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정명주 / 경기 고양 대자동
- "이 지역이 고도제한이 있었거든요. (절차가) 간소화되면 증축을 할 때도 편하고 재산권도 더 좋아지고요."
반면에 군사시설 보호구역 내 국유지를 빌려 농사를 짓던 사람들은 국유지 개발로 하루아침에 삶의 터전을 잃게 됐습니다.
▶ 인터뷰 : 박관영 / 경기 고양 장항동
- "좋은 조건에서 농사 지어서 로컬 푸드 판매점이나 체험 농장 해서 잘살고 있는데, 다시 이주하라니…."
그동안 휴전선이 가깝다는 이유로 상대적으로 개발이 더뎠던 지역 경제에 새로운 활력이 돌 것이란 기대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MBN뉴스 연장현입니다. [tallyeon@mbn.co.kr]
영상취재 : 김영환 VJ, 공동취재단
영상편집 : 박찬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