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경기도는 10일 "도의 1차 자체조사 결과 신 의원실이 공개한 '수도권 미니 신도시 개발 후보지 관련 한국토지주택공사(LH) 내부 정보'의 최초 유출자는 경기도에 파견된 국토부 소속 직원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당초 최초 유출자가 경기도청 공무원으로 알려진 것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경기도에 파견된 국토부 소속 직원이) 8월 말께 신 의원에게 LH의 공공택지개발계획 요약자료를 SNS로 전달한 것으로 확인했다"고 덧붙였다.
최초 유출 당사자로 지목된 A씨(서기관)는 국토부 소속으로 지난 4월 23일부터 경기도청에 파견 근무 중이다.
신 의원은 지난 5일 LH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토대로 신규택지로 논의되는 경기도의 8개 지역을 공개한 바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A씨는 "지난달 24일 국토부와 도, LH, 경기도시공사 등 관계 기관 회의에서 택지개발 후보지 자료를 받았다"며 "이후 이를 도청 사무실로 가져왔는데 2∼3일 뒤 신창현 의원실에서 자료를 보내 달라는 연락이 왔다"고 밝혔다.
그는 "신 의원이 과천 지역구 의원인 데다가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이어서 업무 협조를 받고 행정을 적극적으로 처리한다는 차원에서 전체 자료가 아닌 개발 후보지 리스트만 사진으로 촬영해 보내줬다"고 설명했다.
A씨는 신 의원과는 전혀 알지 못하는 사이라며 "LH 쪽에 관련 자료를 요청하려고 하니 리스트만이라도 보내 달라고 신 의원 측에서 요구해서 리스트 사진만 보내 주게 됐으며 사진을 보낼 때도 이 리스트가 수도권 미니신도시 개발 예정지인 줄 몰랐다"고 덧붙였다.
A씨는 아직 이런 사실을 경
그는 "신 의원 측에서 해당 자료를 이렇게 이용할 줄 몰랐다"며 자료 유출에 대해 어떤 책임도 질 생각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문성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