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최근 서울 집값 급등으로 여의도·용산 개발계획을 전면 보류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오는 13일 발표 예정이었던 향후 4년간(2018~2022년) 시정 운영 방향을 밝히는 '민선 7기 마스터플랜' 발표일도 연기한다고 5일 밝혔다.
이는 6·13 지방선거 과정에서 공약한 각종 사업의 추진 계획을 밝히는 마스터플랜에는 개발 관련 내용이 담길 수밖에 없어 서울 집값 상승세를 부추길 여지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서울시 관계자에 따르면 박 시장은 발표 시기를 추석 전후로 늦추는 방안과 발표 내용 자체를 조정하는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박 시장은 재선 임기를 시작하고서 두 달 뒤인 2014년 9월 초 '민선 6기 서울시정 4개년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계획에는 서울 도심 차로를 줄여 보행친화도시 정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국공립어린이집을 1000개 더 만들겠다는 계획과 함께 서울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각종 개발계획이 담겼다.
또 창동·상계동 38만㎡ 일대를 문화상업 중심지역으로 만들고 서울역 고가도로를 녹지공원(서울로 7017)으로 조성하겠다는 사업이 이때 공개됐다. 마곡에 서울 최대의 공원을 만들고 종로구 세운상가군 공중 보행로를 정비해 종묘∼남산을 연결하는 보행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도 야심 차게 밝혔다.
하지만 4년 전과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 최근 집값 급등 현상이 나타나며 서울시가 내놓는 정책 하나하나가 집값을 자극하는 재료로 활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박 시장이 최근 내놓은 '옥탑방 구상'인 강남·북 균형발전 정책이 있다. 강남과 균형발전을 위해 강북을 개발하겠다는 구상을 발표한 뒤 경전철 노선 주변이 들썩였고 강북구 일부 지역에선 매물 자체가 자취를 감췄다.
이에 서
서울시 관계자는 "부동산시장이 오해할 수 있는 부분은 일단 발표 내용에서 배제할 수 있다"며 "정부에 부담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뉴스국 문성주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