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이번 주 정부의 핵심정책인 포용국가의 비전과 전략을 선언하는 '포용국가 전략회의'를 개최합니다.
사회분야 최초의 전략회의로 기존 사회정책 패러다임의 대전환을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최중락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지난해 문재인 정부가 내세운 핵심 5대 정책목표 가운데 하나는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
그에 따른 핵심 전략은 '모두가 누리는 포용적 복지국가'입니다.
」
이를 바탕으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년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포용국가 비전과 전략을 체계화 "하는 사회분야 최초의 전략회의를 이번 주 개최합니다.
「정부와 여권 관계자에 따르면 "사회정책 패러다임의 대전환으로 포용국가를 공식 선언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
「 대통령직속 정책기획위원회는 "우리 경제와 사회구조가 노동시장 불평등으로 가계의 지속 가능한 성장이 어렵다고 진단"하고 대통령에게 보고할 예정입니다. 」
국가가 적극적으로 나서 소득 불평등을 완화하고 노동시장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개입하겠다는 뜻으로 보입니다.
특히, 최저임금 인상으로 대표되는 소득주도 성장이 비판을 받으면서 '포용적 성장'으로 국민설득 방향을 전환하는 계기가 될 전망입니다.
「포용적 성장은 국가마다 개념이 다르지만, 문재인 정부는 사람중심의 경제로, 소득주도와 혁신성장, 공정경제를 통해 그 혜택을 골고루 나눈다는 개념입니다.
」
▶ 스탠딩 : 최중락 / 기자
- "문재인 복지, 이른바 '문페어'의 방향이 이번 주 공식화됩니다. 국가가 시장과 가계에 적극 개입하겠다는 ‘포용적 성장’ 정책이 어려움을 겪는 우리 경제의 문제를 얼마나 풀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MBN 뉴스 최중락입니다."
영상취재 : 구민회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