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당국자는 6일 북한산 석탄 반입 의혹과 관련해 "현재 한국과 미국이 긴밀하게 공조하고 있고 9건의 반입사례를 조사하고 있다"며 "과도한 해석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이날 "북한산 석탄 반입 의혹 건은 처음부터 한미가 긴밀 공조하는 사안으로 미 측에서도 우리의 노력을 평가하고 있다"며 "미 정부는 우리 측에 어떤 우려도 표명한 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위 전문가 패널 조사에 따르면 북한산으로 의심받는 러시아 석탄이 여러 나라들에 반입된 사건이 23건에 달하지만 실질적 처벌된 사례가 없다"며 "우리는 미국과 정확히 조사해서 처벌하려는 단계이기 때문이 불이익을 준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고 강조했다.
다른 정부 당국자는 조사 상황에 대해 "관심 있게 보는 석탄 반입사례는 현재 9건"이라며 "관계기관으로부터 통보된 건도 있고 저희가 그것을 수사하는 과정에 자체 인지한 건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당국은 조사 과정에서 관련자 출국금지, 압수수색 등도 진행했으며 필요한 경우 러시아 측에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당국자는 작년 10월 북한산으로 의심되는 석탄을 수입한 혐의를 받는 남동발전에 대해 참고인 조사를 했다고 소개했다.
아울러 성분분석을 통한 산지
또한 "이번 조사는 작년 10월부터 시작해 담당 검사의 보강 조사 지시에 따라 추가 조사를 하는 등 정상 절차를 밟아 진행 중"이라며 현재 마무리단계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