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루킹'사건을 계기로 포털 사이트의 댓글 서비스를 없애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일부 포털에서는 이른바 '소셜 댓글' 폐지를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태일 기자입니다.
【 기자 】
바른미래당 안철수 서울시장 후보는 포털 사이트에서 댓글 달기 기능을 없애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 인터뷰 : 안철수 / 바른미래당 서울시장 후보
- "지금 현재 포털에서 많은 문제가 되고 있는 댓글에 대한 조치도 취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최소한 댓글을 없애는 것. 저는 국회에서 논의가 시작돼야 한다고 봅니다."
자유한국당 김영우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포털사이트로서 순수하게 검색기능과 언론사 사이트에 연결되는 기능만 갖추는 게 좋겠다"며 댓글 서비스 기능에 대한 부정적 견해를 밝혔습니다.
해외 사이트 중에는 댓글 달기를 일부 없앤 곳도 있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2014년 댓글을 폐지했고, 구글은 언론사 사이트로 이동해 댓글을 달게 만들어 최소한 포털 내 댓글논란의 싹을 잘랐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일부 포털이 트위터나 페이스북 등 SNS 계정으로 댓글을 다는 '소셜 댓글' 폐지를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소셜 댓글 기능을 없앨 경우 해당 사이트 아이디로만 댓글 작성이나 공감·비공감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공감·비공감의 비정상적인 증가를 막아보자는 취지입니다.
이번 드루킹 사건을 계기로 댓글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제도 개선이 이뤄질지 주목됩니다.
MBN 뉴스 김태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