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당국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측에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문제에 대해 논의할 의향이 있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8일(현지시간) 알려졌다. 미국과 북한이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양측 정보당국 간 실무적 성격의 대화를 가져왔단 사실이 드러난 가운데 북미정상회담 준비에 한층 탄력이 붙게 될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블룸버그 통신 등 미국 언론들은 이날 "미국 측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이 한반도의 비핵화 문제를 기꺼이 논의할 의향이 있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한 행정부 관리를 인용해 보도했다.
또 로이터통신은 "북미 간 비밀접촉에서 평양 측은 북미정상회담 개최에 대한 의향도 직접 미국에 전달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관계자도 '북미가 정상회담 준비를 위해 비밀접촉을 가져왔으며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 대화 의향을 재확인했다'는 보도에 대한 사실관계를 묻는 연합뉴스와의 서면 질의에 맞다고 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8일 방미한 한국 특사단과의 면담에서 김 위원장의 북측의 비핵화 의지 표명을 전해 듣고 정상회담 제안을 수락했지만 그 이후 트럼프 행정부는 북측으로부터 직접적 반응은 듣지 못했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외신들은 북측이 직접 미국 측에 비핵화 협상 의사를 표명한 데 대해 "북미정상회담의 장애물을 제거, 길을 터줬다."(WSJ) "김정은이 정상회담에 전념하고 있다는 확신을 트럼프 행정부에 심어줬다."(워싱턴포스트), "북미정상회담 개최 성사 전망을 높여주는 긍정적 움직임"(블룸버그 통신)이라고 그 의미를 평가했다.
WSJ은 "북한의 이번 확언이 반드시 회담의 성공으로 이어지는 건 아니다"며 김 위원장이 언급한 '단계적·동시적 조치'와 관련해 "북한이 상정하는 비핵화 시간표가 트럼프 행정부가 수용할 수 있는 수준보다 훨씬 장기적 목표일 수 있고 그마저 주한미군 철수 등 군사적 체제 위협 요소 제거를 전제로 하는 것일 수 있으며, 핵 검증 작업도 추가적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해 6자회담 차석대표였던 조지프 디트라니 전 대북협상 대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