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실험용 경수로의 시험 가동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는 뉴욕타임스 등의 보도는 "성급한 결론"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미국 로스앨러모스 국립연구소(LANL)의 핵실험 전문가 프랭크 파비안과 북한의 군사시설 등에 대한 인공위성 사진 분석 전문가인 조지프 버뮤데즈 등은 29일(현지시간) 북한 전문매체 38노스에 올린 분석 글에서 지난달 25일 인공위성 사진에 찍힌 "작은 증기 줄기 모양의 것"이 "진짜 증기인지는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경수로용 환기탑 꼭대기에서 나오는 것처럼 보이는 물질이 실제로는 "진입로와 연관된 지표면의 옅은 색 때문에 그렇게 보일 수도 있다"며 착각 가능성에 더 무게를 뒀다.
이어 "그것이 설사 기체일지라도 그 기체가 뿜어져 나온 환기탑은 원자로 가동에 다른 배기가스나 수증기, 연기 등의 제거용이 아니다"며 "환기탑은 원자로 사고 때 원자로 내부 공간에 방사성 가스 압력이 높아지면 감압을 위해 가스 일부를 여과 장치를 거쳐 빼내는 역할을 하는 것"이라고 이들은 설명했다.
그 사진이 가스 배출의 증거라면 경수로의 "시험 가동"의 증거가 아니라 "환기 시설, 즉 비상 상황시 과압 가스의 감압 시설을 시험하고 있다는 증거
이들은 뉴욕타임스가 환기탑을 연기 배출용 "굴뚝(smokestack)"이라고 표현한 것도 "경수로의 가동 단계에 대한 불필요한 혼란을 부추기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