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25일 "노동시장 진입 인구가 대폭 늘어나는 향후 3~4년 동안 한시적으로라도 특단의 실효성 있는 청년 일자리 대책이 마련되지 않으면 청년 일자리 문제는 더욱 절망적인 고용 절벽이 될 수 있다"며 "이런 인식 하에 비상한 각오로 더 과감하고 근본적인 대책을 종합수립해 정책의 최우선 순위에 두고 추진해달라"고 강도높게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에서 주재한 청년 일자리 점검회의에서 "청년 일자리 문제는 경제 문제 그 이상으로, 젊은이들의 꿈, 희망, 미래를 지켜주는 것"이라며 "고용 절벽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25~29세까지 인구가 대폭 느는 향후 3~4년간은 긴급 자금을 투입해 새로운 일자리를 만드는 등 특단 대책을 추진하는 동시에 청년고용 촉진을 위한 중장기 대책도 함께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특히 "저는 청년실업 문제가 국가재난 수준이라 할 만큼 매우 시급한 상황임을 여러 번 강조했고 신년사에서도 이 문제를 국가적 과제로 삼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며 "그런데 정부 각 부처에 그런 의지가 제대로 전달됐는지, 정부 부처가 그 의지를 공유하고 있는지 의문"이라며 "각 부처가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에 정책의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가 않는다"고 질책했다.
문 대통령이 청년 일자리 문제와 관련해 유관부처의 정책추진 의지를 강하게 질타하고 '특단의 대책'을 강력히 주문한 것은 취임 이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그러면서 "지난 10여년간 정부가 총 21회에 걸쳐 청년고용 대책을 마련했지만, 결과적으로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실패했다"며 "그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민간과 시장이 청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는 데 오랫동안 실패해 왔고 정부의 대책도 충분하지 못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문 대통령은 "우리 정부는 작년 추경 등으로 청년 일자리 대책에 역점을 둬 왔고 전체 고용률과 청년고용률이 높아지는 일정한 성과도 있었지만, 청년 취업 희망 인구가 늘면서 청년 실업률도 함께 높아지는 이중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며 "이는 인구 구조 변화 속에서 정부의 청년 일자리 대책도 충분하지 못하다는 것과 더 근본적이고 과감
문 대통령은 "저는 임기 내에 국정 역량을 총동원해 청년 일자리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며, 조속한 시일 내에 청년들이 공감하고 시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더 강화된 종합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