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 1일 미국의 대북 추가 제재의 하나로 거론되는 '해상봉쇄'를 정부 차원에서 논의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어제 한미 정상 간 통화에서 해상봉쇄라는 부분이 언급된 바가 없다"며 "정부 차원에서 논의되고 있지 않음을 확인한다"고 말했다.
대북 해상봉쇄는 북한을 오가는 선박의 출입을 사전 차단하는 것으로, 일부 언론은 미국 태평양사령부가 지난달 우리 측에 실행 방안을 전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에서 군사적 대응을 거론했는지에 대해 이 관계자는 "그런 요구 자체가 없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해상봉쇄 계획을 표명할 계획은 앞으로도 없을 것"이라며 "해상봉쇄를 하려면 안보리의 새로운 결의도 필요하고 그 효과가 어느 정도인지 다각적으로 검토할 필요도 있다"고 밝혔다.
북한이 지난달 29일 발사한 '화성-15형'이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서의 완결성을 부정한 문재인 대통령과 달리 국방부가 미국 워싱턴까지 도달할 수 있는 신형 ICBM급으로 평가한 것과 관련, 이 관계자는 "거리상으로는 ICBM이 맞고, 대통령께서 말씀하셨던 유도장치·재진입·핵탄두 탑재능력 등에서 검증된 바가 없기
문 대통령의 북한 미사일 기술에 대한 유보적 판단과 관련한 언급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직접적인 언급은 없었으며, 이에 대한 두 정상의 인식의 차이는 없다고 이 관계자는 밝혔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