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 단체장을 비롯해 '풀뿌리' 지방권력을 선출하는 제7대 지방선거가 내년 6월 13일 치러질 예정이다. 8개월 정도 남은 셈.
이번 지방선거는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과 촛불 정국을 거쳐 탄생한 문재인 정부 출범 후 치러지는 첫 번째 전국 단위 선거다.
'지방 분권'을 중요한 화두로 내걸어 온 문재인 대통령과 여권 입장에서는 이번 지방선거에서 압승할 경우 기세를 몰아 개혁 드라이브에 더욱 속도를 내면서 안정적으로 집권 중반기에 진입할 수 있는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현재까지 이렇다 할 지지율 반등을 이뤄내지 못한 자유한국당과 국민의당, 바른정당 등 야당으로서는 지방선거를 통해 확실한 반전의 기회를 마련할 발판으로 삼아야 한다.
여야 각 당은 여론이 흩어지고 모이는 이번 추석 연휴 민심이 중요하다는 판단에 따라 당장 추석 민심잡기 경쟁부터 벌일 태세다.
28일 여야 정치권의 분석을 종합하면 문 대통령에 대한 지지율이 60% 후반대의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상황인 만큼 다음 선거까지는 현 여권이 기세를 몰아칠 것이란 전망이 현재로선 우세하다.
그러나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간의 보수통합 가능성을 포함해 통상 전국 단위 선거를 앞두고 벌어지는 정치권의 각종 합종연횡 움직임 속에 민심의 향배가 어느 쪽으로 향할지 단언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최대 승부처로 꼽히는 수도권의 경우 민심의 풍향계라는 점에서 여야 모두 벌써 한 치도 물러설 수 없는 진검승부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장 자리를 놓고는 여권인 더불어민주당의 경우 현역 박원순 시장이 사실상 3선 도전 의지를 굳힌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박영선, 우상호, 민병두, 이인영 의원 등 중진이 대거 물밑 준비에 나선 것으로 전해진다.
야당의 경우 아직 이렇다 할 후보군이 부상하고 있지는 않지만 '새피 수혈'을 통해 바람을 일으켜야 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인물 경쟁을 가속화할 전망이다.
이전까지 지방선거에서 각각 전통적 민주당과 한국당의 텃밭으로 분류돼 온 호남과 영남 역시 이번에는 변화의 진앙으로 부상할 수 있다.
호남권의 경우 지난 총선에서 대거 국민의당으로 이동한 민심이 민주당으로 돌아올지 여부를 놓고 현재까지 분석이 엇갈린다.
한국당의 '텃밭'으로 분류되는 영남은 이미 TK(대구·경북)와 PK(부산·경남)로 확연한 분화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문 대통령과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모두의 고향인 PK에서는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TK의 경우 한국당의
안희정 충남지사가 사실상 불출마 쪽으로 기운 것으로 전해지며 충청권 선거 역시 '포스트 안희정' 자리를 놓고 경쟁이 치열할 전망이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