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인상에 성공한 정부 여당이 이번엔 '근로시간 단축'에 팔을 걷어붙이고 있습니다.
근로시간을 줄이면 새로운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는 건데, 야당에서는 당장 도입하면 부작용이 클 것이라며 여전히 부정적입니다.
안보람 기자입니다.
【 기자 】
대선후보시절 근로시간 단축을 약속한 문재인 대통령.
▶ 문재인 / 대통령 (지난 3월)
- "주 52시간 법정노동시간을 준수하고, 휴가를 제대로 사용하기만 해도 새로운 일자리 50만 개가 만들어집니다."
정부와 여당이 최저임금 인상과 함께 근로시간 단축도 고삐를 죄고 있습니다.
주7일 최대 근로시간을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16시간 줄이는 내용의 근로기준법 일부개정안을 오는 31일 환경노동위원회 소위를 열어 심의한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야당의 반응은 시큰둥합니다.
근로시간을 줄여야 한다는 방향엔 동의하지만, 부작용을 줄일 방안을 깊이 고민해야 한다며 여당의 '속도전'에 부정적인 입장입니다.
자유한국당 환경노동위원회 간사인 임이자 의원은 "기업에는 인력보충 문제, 근로자에게는 임금감소 문제에 대한 지원책이 필요하다"며 "유예기간을 가지고 심각하게 고민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휴일근로 할증률이나 탄력근로제 확대 등 세부 쟁점사항도 여야가 팽팽히 맞서는 상황입니다.
▶ 스탠딩 : 안보람 / 기자
- "지난 3월 근로시간 단축에 원칙적으로 합의한 여야지만, 목표지점까지 가는 길이 순탄치만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안보람입니다."
영상취재 : 임채웅 기자
영상편집 : 박기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