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원전 5, 6호기의 운명을 결정할 공론화위원회가 출범 직후부터 오락가락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위원회의 판단을 100% 따르겠다고 했는데, 막상 공론화위원회는 자신들은 "최종판단"이 아니라 "권고"랍니다.
서로 책임을 떠넘기는 듯한 모양새입니다.
최은미 기자입니다.
【 기자 】
논란에 불을 지핀 것은 공론화위원회의 브리핑이었습니다.
▶ 인터뷰 : 이희진 / 공론화위원회 대변인(어제)
- "(찬반) 결정이라기보다는 저희가 어떤 결정을 내리진 않을 것이고요, 권고사항 정도로 마무리될 것 같습니다."
위원회의 찬반 결정을 따르겠다고 밝힌 청와대는 난감해졌고, 대변인이 직접 나서서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습니다.
▶ 인터뷰 : 박수현 / 청와대 대변인
- "공론화위원회가 어떤 방법을 통하든 사실상의 결론에 이르러 그것을 제출하면 대통령과 정부는 법적 정치적 책임을 지고 그 결과에 따르겠다…."
김지형 공론화위원장도 보도자료를 내고 "위원회 방향이 당초와 달라진 것은 없다"며 "혼선으로 비쳐 유감"이라고 밝혔습니다.
뒤늦게 수습했지만, 각계에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김세연 / 바른정당 정책위의장
- "공론화위원회가 얼마나 졸속으로 구성됐는지 보여주는 단면입니다."
▶ 스탠딩 : 최은미 / 기자
- "이 때문에 공론화위원회가 아니라 국회가 논의의 장이 돼야 한다는 주장도 힘을 얻고 있습니다. MBN뉴스 최은미입니다. "
[ cem@mbn.co.kr ]
영상취재 : 김영호 기자
영상편집 : 서정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