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상범 연구위원 발령…'우병우 사단' 청산의 연장선?
27일 법무부가 단행한 검찰 고위간부 인사에서도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고강도 '인적 쇄신' 기조가 이어졌습니다.
이날 법무부는 검사장급 이상 간부 36명을 승진·전보하는 고위간부 인사를 단행하면서 유상범(51·사법연수원 21기) 광주고검 차장검사를 법무연수원 연구위원으로 발령냈습니다.
유 검사장은 지난 6월 창원지검장에서 광주고검 차장검사로 발령 난 데 이어 불과 두 달도 안 돼 다시 일선 검찰 지휘와 무관한 연구 보직으로 발령받았습니다.
유 검사장을 광주고검으로 발령한 당시 인사 때 법무부는 '과거 부적정한 사건 처리를 한 검사'라는 이유로 윤갑근 전 고검장과 김진모·전현준·정점식 전 검사장 등 고위간부 4명에 대해 좌천인사를 단행한 바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검찰을 떠났습니다.
검찰 안팎에서는 당시 검찰 개혁을 명분으로 이른바 '우병우 사단'을 키워드로 삼아 인적 청산에 나섰다는 해석이 많았습니다.
'우병우 사단'의 실체에 의문을 제기하는 이들도 많지만, 우 전 수석과 친밀한 관계라고 정치권 등에서 지목한 인사들이 좌천인사에 대거 포함됐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표적 인사'라는 분석이 힘을 얻었습니다.
유 검사장의 이번 발령도 당시 인사의 연장선에 있는 것으로 관측됩니다.
그는 2014년 '정윤회 문건' 수사 당시 서울중앙지검 3차장으로 수사팀장을 맡은 바 있습니다.
이 사건에서 검찰은 국정개입 의혹 등 내용이 아닌 문건 유출 자체에만 집중하면서 '비선 실세' 최순실씨의 존재를 드러내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이 사건의 재
유 검사장은 우병우 전 수석과 서울대 법대 84학번 동기이기도 합니다.
이런 배경 때문에 지난해 11월 국회에서 열린 긴급현안 질문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의원이 이른바 '우병우 라인'이라며 공개한 12명의 명단에 포함되기도 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