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대 총선 후보 등록 첫날인 어제, 모두 833명이 출사표를 던졌습니다.
그런데 지역주민을 대표하겠다고 나선 후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세금을 국민 평균보다 적게 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안영주 기자의 보도입니다.
어제(25일) 등록한 18대 총선 후보 833명 가운데 연 평균 소득세 납부액이 100만원도 안되는 경우는 전체의 43.8%에 달했습니다.
이 중 89명은 지난 5년 동안 소득세를 한 푼도 내지 않았고, 10만원도 내지 않은 후보는 229명에 달했습니다.
또한 지난해 국민 1명이 낸 평균 세금 412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후보가 57.4%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선거 기탁금으로만 의무적으로 1천5백만원을 내야하지만 절반을 넘는 후보가 국민 평균에도 못 미치는 세금을 낸 겁니다.
세금 체납 상위 10명에는 한나라당이 3명, 통합민주당과 친박연대, 무소속 후보가 각각 2명씩이었고, 자유선진당 후보가 1명이었습니다.
지역민을 대표하겠다는 후보들이 과연 성실하게 소득 신고를 해 왔는지, 세금을 의도적으로 탈루하지 않았는지 의문이 이는 대목입니다.
병역 의무가 없는 사람을 제외하고 군 복무를 하지 않은 사람은 120명에 달했고, 전과 기록을 갖고 있는 후보는 114명 이었습니다.
이같은 수치는 지난 17대 총선때보다 조금 줄어든 것인데, 어느 때보다 당내 심사과정이 치열했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후보들의 평균 재산은 57억 4천5백만원 가량이었으며, 3조 6천억원의 재산을 보유한 정몽준 후보를 제외한 후보자 평균 재산은 14억 1천7백만원으로 나타났습니다.
mbn뉴스 안영주입니다.
< Copyright ⓒ mb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