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미국 정부의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개정협상 요청에 "서울에서 정부 조직개편 절차를 완료한 후 열자"고 제안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4일 미국의 한미 FTA 공동위원회 특별회기 개최 요청에 대해 백운규 장관 명의로 이 같은 내용의 답신을 발송했다고 밝혔다.
백 장관은 서한에서 "한미 FTA 발효 이래 지난 5년간 양국 간 교역과 투자, 고용 등에 있어 상호호혜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아태지역에서 미국이 발효시킨 무역협정 중 가장 최신의 높은 수준의 무역협정으로 미국의 전략적 리더십을 강화하는 데도 크게 기여해왔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대(對)한국 무역적자에 대한 미측의 우려를 알고 있으며 양국 경제통상 관계를 확대·균형 방향으로 발전시킬 방안을 논의할 용의가 있다"고 덧붙였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는 지난 12일 한미 FTA 협정 개정·수정 가능성 등 협정 운영을 검토하자며 워싱턴 D.C.에서 한미 FTA 공동위 특별회기 개최를 요청했다.
한미 FTA 협정문에 따르면 한쪽이 공동위 특별회기 소집을 요구하면 별도의 양측 합의가 없을 경우 상대방이 30일 이내 개최에 응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산업부는 "미국 측의 특별회기 개최 요청에 대해 협정문에 정한 절차에 따라 동의한다"고 밝혔다. 개정협상 가능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았다.
산업부는
산업부는 또 개최 장소를 서울로 하자고 제안하고 개최 시기를 산업부 내 통상조직 설치 등 우리 정부의 조직개편이 완료된 이후 가까운 적절한 시점에 개최하자고 의사를 분명히 전달했다.
[디지털뉴스국 손희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