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우리 정부가 남북 군사회담을 열자고 북측에 제안한 시한이 바로 오늘(21일)인데요.
하지만 북한이 아무런 대응을 내놓지 않으면서 회담이 끝내 무산됐습니다.
김종민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우리 정부의 남북군사회담 제안에 북한이 끝내 침묵하면서 문재인 정부 첫 남북 군사회담이 무산됐습니다.
국방부는 회담 불발에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 인터뷰 : 문상균 / 국방부 대변인
- "군사 분야에서 대화 채널을 복원하는 것은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매우 시급한 과제입니다."
정부는 북한의 회담 호응을 다시 한 번 촉구하며 정전 협정일인 27일 전까지는 답변을 기다리겠다고 밝혔습니다.
▶ 인터뷰 : 지난 6일 독일 베를린
- "올해 7월 27일은 휴전협정 64주년이 되는 날입니다. 이날을 기해 남북이 군사분계선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일체의 적대행위를 중지한다면…."
하지만 북측은 노동신문을 통해 관계 개선을 운운하는 것은 기만행위라는 식의 우회적 거부 입장만 내놓은 상태입니다.
따라서 우리 정부에 끌려가지 않으려는 노림수를 가지고 수정 제안을 해 올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 인터뷰(☎) : 양무진 /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
- "북한은 27일 전후로 민족우선의 원칙에 의해 정치군사 회담으로 역제안해 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합니다."
오히려 다음 달 열리는 을지프리덤가디언 훈련을 앞두고 북한이 ICBM 발사 등 군사적 도발을 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점쳐집니다.
남북 군사회담이 무산되면 다음 달 1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해 우리 정부가 제의한 적십자회담 역시 개최되지 않을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
MBN뉴스 김종민입니다.
영상취재 : 민병조 기자
영상편집 : 박기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