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정부가 북한에 군사 회담과 적십자 회담을 제의했지만 끝내 북한은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오늘(21일) 만나자고 제안했던 군사회담 개최는 사실상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길기범 기자입니다.
【 기자 】
지난 17일 우리 정부가 군사적인 적대행위 금지 방안을 논의하자며 북한에 제안했던 남북 군사 당국회담은 사실상 무산된 것으로 보입니다.
국방부가 어제(20일) 자정까지 북측의 응답을 기다리겠다고 밝혔지만, 밤사이에도 아무런 소식이 없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북한은 이번 군사회담 제안에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공식 답변은 아니지만, 북한은 노동신문을 통해 "상대방을 적대시하는 남측이 관계개선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불편한 입장을 간접적으로 드러냈습니다.
군사회담이 사실상 불발되면서 다음 달 1일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위한 적십자회담 역시 열리지 못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그럼에도, 정부는 북한이 당장 거부의사를 밝히지 않은 만큼 북한의 호응을 계속 촉구할 방침입니다.
통일부의 한 관계자는 "북한이 군사회담을 할 마음이 없었다면 아예 거부했을 것"이라며 오는 27일을 전후로 군사회담을 다시 제안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는 오늘(21일) 중으로 남북 군사회담 불발에 대한 입장을 발표하고, 후속 대응 방안 등을 논의할 것으로 보입니다.
MBN뉴스 길기범입니다.[road@mbn.co.kr]
영상편집 : 김경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