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사무실별로 캐비넷, 사물함, 책상 등 사각지대까지 점검한 결과 박근혜 정부 정책조정수석실에서 작성된 1300여건의 내부문건을 추가로 발견했다고 17일 밝혔다.
청와대가 최순실 국정농단 사건관련해 박근혜 정부의 민정비서관실에서 작성된 약 300건을 무더기로 발견해 지난 14일 발표한 이후 경내 전수조사에 나섰는데 박근혜 정부에서 인수인계가 안된 자료뭉치를 또 확인한 것이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청와대에서 브리핑을 갖고 "민정비서관실에서 지난 14일 지난 정부의 자료가 발견됐다는 보고를 보고나서 정무수석실에서 자체적으로 잠겨진 캐비닛 등에 방치된 문서가 있는지 추가로 점검을 하던 중 오후 4시30분경 정무기획비서관실 입구의 행정요원책상 하단에 잠겨진 캐비닛에서 다량의 문건들 발견하고 현재 분류 작업 중에 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이 문서들은 전 정부의 정책조정수석실 기획비서관이 2015년 3월 2일부터 2016년 11월 1일까지 작성한 254건의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회의 결과를 비롯해 총 1361건에 달한다"고 설명했다.
박 대변인은 "현재 254개의 문건에 대한 분류와 분석을 끝냈고 나머지 문건에 대한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254개의 문건은 비서실장이 해당 수석비서관에게 업무지시한 내용을 회의 결과로 정리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박 대변인은 "문서 중에는 삼성 및 문화계 블랙리스트 관련 내용, 현안 관련 언론 활용 방안 등이 포함돼있다"며 "위안부 합의, 세월호, 국정교과서 추진, 선거 등과 관련하여 적법하지 않은 지시사항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지난 7월 14일 민정비서관
한편 박 대변인은 "청와대는 문건과 관련해서 추가로 발견되는 내용이 있다면 그때그때 보고하고 발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밝혔다.
[강계만 기자 / 정석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