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통일부장관은 "우리는 북한에 대해 적대시 정책을 갖고 있지 않으며, 북한의 붕괴나 흡수통일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 장관은 17일 대한적십자사와 국방부가 각각 남북적십자회담과 남북군사당국회담을 북한에 공개 제안한 직후 '베를린 구상 후속 조치 발표문'을 통해 "남북 간 대화와 협력은 북핵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남북관계와 북핵 문제의 상호 선순환적 진전을 촉진해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조 장관은 또한 "핵과 전쟁 위협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가 우리 정부가 추구하는 일관된 목표"라며 "북한이 올바른 길을 선택한다면 국제사회와 협력해 북한과 보다 밝은 미래를 함께 열어나가고자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밖에도 "이산가족 상봉은 어떤 정치적 고려보다도 우선되어야 한다"며 "남북의 많은 고령의 이산가족들이 생전에 한 번만이라도 가족을 만나고, 성묘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남북 군사당국이 대화를 통해 군사분계선 일대의 우발적 충돌 위험을 제거하고, 긴장 상태를 완화해 나가는 것도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해 중요한 과제"라고 설명했다.
조 장관은 "북한이 과거 남북이 합의한 7·4 공동선언, 남북기본합의서, 6·15 공동선언, 10·4 정상선언을 존중한다는 입장이라며 우리의 진정성 있는 제안에 호응해 나와야 한다"며 "남북이 마주 앉는다면 상호 관
그는 아울러 "남북 간 긴장 완화와 현안을 협의해 나가기 위해서는 판문점 남북 연락 채널 및 서해 군통신선이 조속히 정상화되어야 한다"며 "북측의 긍정적 호응을 기대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디지털뉴스국 길나영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