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야당 간 협치가 이번 주 본격적인 시험대에 오른다.
문 대통령은 19일 여야 지도부를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회동을 갖는다. 18일 예정된 국회 본회의에서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일자리 추가경정예산안(추경)과 정부조직법 개정안 통과 여부에 따라 이날 오찬 분위기도 결정될 것으로 보이는만큼 18일과 19일이 정국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특히 홍준표 자유한국당 대표가 문 대통령과 여야지도부 오찬 회동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홍 대표는 15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어제(14일) 청와대로부터 5당 대표 회동 제의가 왔지만 확답을 하지 않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때문"이라며 "청와대 회동은 원내대표들과 하는 것이 맞다는 역제안을 했다. 그분들은 한미 FTA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분들이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청와대는 이번 오찬 회동이 정상외교의 성과를 공유하고 한반도 정세에 대한 의견을 듣는 초당적 외교·안보 논의의 자리인만큼 야당 대표들도 참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홍문표 한국당 사무총장은 16일 기자들의 오찬에서 홍 대표 참석 여부를 묻는 질문에 "홍 대표는 대선 후보 시절과는 달리 당 대표가 되고 나서는 상당히 말을 아끼고 진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만 했다.
이같은 분위기 속에 보수 야당 간 대결이 더욱 거세질 기류도 나타나고 있다. 바른정당은 16일 영수회담 불참 의사를 밝힌 홍 대표를 겨냥해 "같은 야당이지만 좀 너무하다는 생각이 든다"며 "나홀로 '후진 야당'에 안주하고자 한다면 홍 대표는 영원히 '애들 정치'하길 바란다"고 비판했다. 이종철 바른정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영수회담을 제안한 대통령에게 당 대표는 못가겠으니 원내대표들과 만나 이야기하라는 것도 '좀팽이' '놀부 심보'와 같다"고 밝혔다.
보수 야당 간 대결 기류가 심화되면 문 대통령의 협치 노력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야당 입장에서는 선명성을 강조하며 정부와 날을 세워야하는데, 한국당과 바른정당 모두 '보수 적통'을 주장하는만큼 정부의 정책 주진에 쉽게 손을 들어주기 어려워진다는 점 때문이다.
추경안·정부조직법 개편처럼 국회 내 이슈의 경우 논의의 첫 발을 떼기는 했지만 국회 밖 이슈는 여전히 문 대통령에게 녹록치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우선 국민의당 '제보조작' 사건과 관련한 검찰 수사가 이번 주 최대 고비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는 점이 변수다. 국민의당 '윗선'에 대한 검찰 수사 진행 여부가 이번주 결정될 가능성
청와대가 지난 14일 공개한 박근혜 정부 당시 민정수석실 문건 논란 역시 한국당이 공개 시점을 놓고 반발하는만큼 청와대와 제1야당 간 대결이 발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정석환 기자 / 추동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