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이보다 앞서 독일 정상과 만나 "한반도에 긴장이 높아지다 군사적 충돌로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는 발언을 내놨습니다.
우리나라 대통령이 '군사적 충돌을 우려한다'는 발언을 내놓은 건 굉장히 이례적인데, 어떤 의미였는지 베를린에서 송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독일의 프랑크 발터 슈타인마이어 대통령과 앙겔라 메르켈 총리를 잇달아 만나 한반도 위기 상황을 공유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지금은 대화의 모멘텀을 만들기 어려운 상황으로 북한 도발로 군사적 충돌까지 이어지지 않을까 걱정스럽다"고 말했습니다.
독일 출국 전,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경고하는 차원으로 한미연합 탄도미사일 사격훈련으로 단호한 '무력시위'를 지시했던 문 대통령.
하지만, 군사행동으로 이어져, 충돌까지 가는 상황은 원치 않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대화로 해결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했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북한의 도발을 멈추기 위해서 국제적으로 더욱 강도 높은 제재와 압박의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 같습니다."
▶ 인터뷰 : 문재인 / 대통령
- "하지만 결국에 있어서는 북핵 문제가 평화적인 방법으로 해결돼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메르켈 총리도 문 대통령의 접근법에 지지를 선언했습니다.
▶ 인터뷰 : 앙겔라 메르켈 / 독일 총리
- "특히 북한이 세계평화에 큰 위험이 되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 노력을 지지합니다."
▶ 스탠딩 : 송주영 / 기자 (독일 베를린)
-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이 잠시 뒤 '쾨르버 재단 초청 연설'에서 어떤 한반도 평화 구상을 제시할지도 관심입니다. 베를린에서 MBN뉴스 송주영입니다."
영상취재 : 김인성 기자·이재기 기자
영상편집 : 김경준